오피스텔 소유자 과반이 50대에 수익률 5.6%···"투기 아니라 노후 안정 목적"

2024-02-15 18:02

[사진=연합뉴스]

서울 오피스텔 소유자 10명 중 6명이 50대 이상으로, 연평균 5.6%의 월세 수입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 거주자는 69%가 3030 청년층으로, 대부분 전·월세 형태로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지난해 12월 건축물대장 기준 서울 오피스텔 1500실의 등기부등본을 열람해 '오피스텔 거주가구 특성과 소유자 특성'을 분석했다고 15일 밝혔다. 협회는 오피스텔이 도심 내 청년과 1·2인 가구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고, 은퇴자들이 안정적인 월세 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노후 안정을 위한 투자라고 진단했다.

분석 결과 전국 오피스텔 125만5127실의 29.3%에 해당하는 36만7913가구가 서울에 분포돼 있었다. 이 중 자치구와 전용면적 등을 고려해 1500실 추출, 거주가구 특성을 분석한 결과 2030 청년층이 69.1%를 차지했다. 각각 20대가 22만9411가구(36.6%), 30대가 20만3718가구(32.5%)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는 82.9%가 전·월세였다. 월세가 54.6%, 전세는 28.3%, 자가는 14.4%였다. 1·2인 가구의 경우 주로 전용면적 50㎡ 이하 오피스텔에서 '보증금+월세' 형태로 거주했다.

오피스텔 소유자는 과반이 50대 이상이었다. 연령대별로 50대 26.3%, 60대 20.8%, 70대 12.9% 수준이다. 평균 보유기간은 8.8년으로 조사됐다.

오피스텔 소유자가 실제 거주하는 자가 점유 비중은 2.5%에 불과했다. 대부분 임대하고 있다는 의미다. 연평균 자본수익률(소유권 이전 당시 매매가액 또는 분양가 대비 현재 오피스텔 시세)은 2.5%로 추산됐다. 월세를 통한 연평균 소득수익률은 5.6%로 집계됐다.

이 통계를 바탕으로 협회는 오피스텔이 투기가 아닌 노후 대비를 위한 투자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이어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 포함하는 조세 정책을 합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오피스텔 공급이 확대돼야 한다고 봤다.

앞서 정부는 1·10 대책에서 향후 2년간 신축되는 오피스텔을 구입하거나 기축 오피스텔을 구입해 등록 임대할 경우 해당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세제 완화 정책을 발표했다. 대상은 전용 60㎡ 이하의 수도권 6억원·지방 3억원 이하 주거용 오피스텔이다. 하지만 오피스텔이 지난해 연말 준공되거나 구축 오피스텔을 구입한 경우 주택 수 제외 특례를 받지 못해 형평성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승배 부동산개발협회장은 "오피스텔 신규 공급을 확대하려면 '2년 내 준공'으로 제한한 세제 완화 대상을 넓히고, 공사비 인상을 고려해 금액 기준도 현실에 맞게 상향해야 한다"며 "형평성과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축 오피스텔 구입 시점 제한을 삭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