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란의 배터리 아틀라스] "우리 기술 베꼈다"…'배터리 전쟁'은 현재진행중
2024-02-02 06:00
글로벌 '배터리 전쟁'은 단순히 치열한 경쟁을 표현하는 단어가 아니다. 배터리는 화학 원료에 따라 판도가 확 바뀌는 산업이기 때문에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기업 간 크고 작은 분쟁이 끊이지 않는다. 일부 완성차 업체가 배터리 제조사에 특허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도 배터리 업계 내 기술 및 특허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요인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LG화학은 양극재의 자사 특허기술 침해 의혹과 관련, 무역위원회에 중국 양극재 기업에 대한 조사를 신청했다. 무역위는 이르면 오는 10월 조사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문제가 된 양극재는 'NCM811(니켈·코발트·망간 비율 8 대 1 대 1)'이다. 니켈 함량을 80% 이상으로 한 '하이니켈'의 일종으로 배터리 용량을 키우고 가격이 높은 코발트를 덜 쓸 수 있게 돼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의 양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전 세대로는 코발트 비율이 20%씩인 NCM523, NCM622 등이 있다.
배터리 시장은 원료 비율 하나로 시장의 '대세'가 갈린다. 기업들은 최대한 많은 특허를 확보해 기술을 독점하려 한다. 후발주자로서는 관련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지 못하면 타사에 종속돼 상당한 금액의 로열티를 내야 하므로 유사한 특허라도 내기 위해 부단히 애를 쓴다.
특히 특허소송에 연루되면 싸움에서 진 기업은 해당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추후 수주를 따내기가 어려워지고, 합의되더라도 거액의 배상금을 물어야 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창과 방패의 싸움이 시작된다.
지난해에는 국내 업계 간 '동박 전쟁'이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솔루스첨단소재가 SK넥실리스를 상대로 자사 특허를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하면서다. SK넥실리스가 미국에서 솔루스첨단소재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한 지 한 달 만에 '맞불 소송'을 낸 것이다.
배터리 업계 내 갈등이 심화하자 테슬라와 같은 일부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업체에 특허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업체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특허를 쥐고 있으면 기술 독점권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법적 분쟁으로 비화하는 걸 막을 수 있다.
이는 세기의 소송으로도 불렸던 LG와 SK 간 배터리 전쟁 이후 불거진 조치다. 2019년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벌인 갈등은 '인력 유출'로부터 시작됐다. 앞서 LG화학은 2019년 4월 자사의 핵심 인력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핵심 영업비밀이 유출됐다는 이유로 SK이노베이션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다. 2년 동안 치열한 공방을 벌인 끝에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현금 1조원과 로열티 1조원 등 총 2조원의 합의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일부 공정은 숙련공의 손끝 기술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유출 시비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LG화학은 양극재의 자사 특허기술 침해 의혹과 관련, 무역위원회에 중국 양극재 기업에 대한 조사를 신청했다. 무역위는 이르면 오는 10월 조사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문제가 된 양극재는 'NCM811(니켈·코발트·망간 비율 8 대 1 대 1)'이다. 니켈 함량을 80% 이상으로 한 '하이니켈'의 일종으로 배터리 용량을 키우고 가격이 높은 코발트를 덜 쓸 수 있게 돼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의 양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전 세대로는 코발트 비율이 20%씩인 NCM523, NCM622 등이 있다.
배터리 시장은 원료 비율 하나로 시장의 '대세'가 갈린다. 기업들은 최대한 많은 특허를 확보해 기술을 독점하려 한다. 후발주자로서는 관련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지 못하면 타사에 종속돼 상당한 금액의 로열티를 내야 하므로 유사한 특허라도 내기 위해 부단히 애를 쓴다.
특히 특허소송에 연루되면 싸움에서 진 기업은 해당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추후 수주를 따내기가 어려워지고, 합의되더라도 거액의 배상금을 물어야 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창과 방패의 싸움이 시작된다.
지난해에는 국내 업계 간 '동박 전쟁'이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솔루스첨단소재가 SK넥실리스를 상대로 자사 특허를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하면서다. SK넥실리스가 미국에서 솔루스첨단소재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한 지 한 달 만에 '맞불 소송'을 낸 것이다.
배터리 업계 내 갈등이 심화하자 테슬라와 같은 일부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업체에 특허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업체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특허를 쥐고 있으면 기술 독점권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법적 분쟁으로 비화하는 걸 막을 수 있다.
이는 세기의 소송으로도 불렸던 LG와 SK 간 배터리 전쟁 이후 불거진 조치다. 2019년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벌인 갈등은 '인력 유출'로부터 시작됐다. 앞서 LG화학은 2019년 4월 자사의 핵심 인력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핵심 영업비밀이 유출됐다는 이유로 SK이노베이션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다. 2년 동안 치열한 공방을 벌인 끝에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현금 1조원과 로열티 1조원 등 총 2조원의 합의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일부 공정은 숙련공의 손끝 기술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유출 시비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