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카페] "어디까지 쌓아야 하나"…은행권, 불어나는 대손충당금에 시름
2024-01-30 17:30
지난해 4대 은행 충당금 10조 상회 가능성
상생금융 지원·PF부실·홍콩ELS 손실 영향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 등 당국 압박도
실적·주가 하락, 유동성 악영향 우려
상생금융 지원·PF부실·홍콩ELS 손실 영향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 등 당국 압박도
실적·주가 하락, 유동성 악영향 우려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지속 쌓아야 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최근 은행권의 상생금융 지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끊이지 않는 데다, 금융당국이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 도입을 결정하며 정부도 손실흡수능력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서다.
이에 은행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충당금은 이익을 떼 쌓아두는 구조여서 수익성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은행권 일각에선 충당금을 지속 늘리고 있지만, 어느 선까지 관련 수치를 늘려야 하는 건지 불만의 목소리도 감지된다. 충당금을 늘릴수록 수익성 하락은 물론, 주가와 유동성 공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금융권 일각에선 지난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10조원을 상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손충당금은 금융기관이 대출·채무에 따른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 놓은 금액을 말한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이들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3조9244억원이었고, 지난해 9월 말 기준 대손충당금은 7조4527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해당 흐름이 이어지면 관련 수치가 도출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의 불완전판매 논란 등으로 손실이 본격화되면서, 배상 가능성도 존재한다. 올해 상반기 홍콩ELS 손실 규모가 최소 5조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불완전판매가 인정됐을 때를 대비해 이와 관련된 배상비율 기준안 마련을 논의 중이다.
은행권은 당국발 손실흡수능력 제고 압박도 충당금을 늘릴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말한다. 당국은 올해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을 도입했다. 이전까지는 금융감독원이 자율적인 협조 요청을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토록 했지만, 이제는 충당금 적립수준이 부족한 은행에 대해 금감원이 추가적립을 요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오는 5월에는 경기대응완충자본 제도가 시행된다. 신용팽창 시기에 추가 자본을 적립하도록 해 과도한 신용 확대를 억제하고, 신용 축소 또는 경색 때는 적립된 자본을 해소해 신용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제도다. 스트레스완충자본도 올해 중 제도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라 추가자본 적립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로, 스트레스테스트는 금리·환율·성장률 관련 위기 상황을 가정하고 은행이 적정자본을 유지할 수 있는지 점검하는 테스트다.
오는 2~3월 배당 시즌을 앞두고 적극적인 주주 환원 정책을 펼치기도 어렵다. 주가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주가는 실적 및 관련 정부 정책에 따라 즉각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며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 독과점 발언 직후 은행의 주가가 크게 내려간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충당금을 늘리면 순이익이 그만큼 감소해 배당 감소는 물론 주가 하락이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며 "아울러 실적 하락세는 은행들의 유동성을 과도하게 압박, 사업 다각화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