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정연 "건설경기 '금융위기' 2011년 수준...내년까지 부진 이어질 것"

2024-01-03 18:24

서울 남산에서 본 용산구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로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건설경기 부진이 2025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건설수주, 건축허가, 착공, 분양 등 모든 지표가 역대급 부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작년 10월 기준 건축착공은 전년 동기대비 38.8% 감소해 2년째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민간 건축부문이 부진한 가운데 공사비 증가의 영향으로 정부 토목사업은 물론 공공주택 사업 등이 지연되면서 공공투자는 2020년 3분기부터 2023년 3분기까지 13분기째 감소·정체 추세다.

보고서는 "최근 건설경기는 2022년부터 '부진'이 본격화해 지난해 '심각' 신호가 발생했다"며 "건축허가 및 착공 등 선행지표 부진과 누적된 공사비 부담, 금융여건 악화 등을 고려하면 2025년까지 부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건설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는 고금리 상황은 개선될 가능성이 크나 이는 2024년 하반기에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태영건설 사태 등에 따라 부동산PF 위험이 확산될 가능성도 상존해 불확실성이 상당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주택시장 전망도 안갯속이다. 주택시장 가격 및 수급여건은 지난해 3분기(7~9월) 정점을 기록한 뒤 4분기(10~12월) 하락세로 전환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작년 6월부터, 전세가격은 7월부터 상승세를 보였지만 이후 수요 약세가 확산되면서 상승률이 둔화됐고, 11월에는 하락세로 전환됐다.

주택수급은 고금리와 가격 상승 전망 약화로 11월에는 87.7로 하락 전환했다. 또 작년 10월 기준 주택거래 역시 정상 수준(2018~2019년) 대비 60%에도 못 미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주택수요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번 분석을 총괄한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실장은 "2024년 신생아 특례, 전세자금대출 확대 등 청년 중심의 주거안정 정책이 활성화될 예정"이라며 "다만 분양가격 메리트 감소, 주택가격 하락 전망의 확산으로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경기 예측력'이 높은 건축착공 물량은 통계 작성이래 2023년이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라며 "건설경기 부진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 자금시장 불안 해소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