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물가안정 기조 안착…가계부채 경상 성장률 이내 관리"

2023-12-19 10:44

최상목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는 19일 "물가안정 기조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가계부채는 연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이내로 관리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하향 안정화시키겠다"고 말했다. 

최 후보자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무엇보다도 민생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중점 정책 추진 방향으로 △물가 안정 △취약부문 잠재 리스크 관리 △경제 역동성 제고 △미래세대를 위한 정책 노력 강화를 꼽았다. 

최 후보자는 물가 안정을 위해 "유류세 인하 연장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공급측 영향을 완충하고 물가 불안심리 확산을 차단할 것"이라며 "주요 생계비 부담 경감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서민 주거안정이 흔들림이 없도록 시장기능 회복을 통해 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키고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취약부문의 잠재 리스크 관리와 관련해 최 후보자는 "부동산 PF의 경우, 금융시장 안정에 유의하면서사업장별 맞춤형 대응을 통해 질서 있는 연착륙을 지원하겠다"며 "근본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 등 질적 개선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최 후보자는 경제 역동성 제고를 위해 "규제혁신, 과학기술과 첨단산업 육성, 구조개혁 등혁신 생태계를 강화하여 경제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여성·청년 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 사다리를 확충하면서 혁신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약자 보호를 강화해 사회 이동성을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미래세대를 위한 정책노력에 대해서는 "재정준칙 마련, 연금개혁 등을 통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고 인구·기후위기에 대응해 정부내 모든 부처가 협업해 정책대응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