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총선 레이스] 관전포인트 세가지 1.선거제·선거구 2.제3지대 3.비명&친명 갈등
2023-12-13 03:00
12일 예비후보 접수시작...정식후보 신청은 3월21일~22일
선거구 획정 미완성...원외·정치신인에 불리, 불확실성 게임
선거구 획정 미완성...원외·정치신인에 불리, 불확실성 게임

제22대 총선을 120일 앞둔 12일 예비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선거전 막이 올랐다. 다만 선거구나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확정하지 못하면서 후보들은 '깜깜이 레이스'를 벌이게 됐다. 이번 선거가 정치 신인에게 불리해진 이유다. 곧 등장할 이준석 신당을 포함한 제3지대 간 연대와 야권의 내홍도 주요 변수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내년 4월 10일 치르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120일 전인 12일부터 경기도 구·시·군 선관위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접수한다. 정식후보 신청 일정은 내년 3월 21~22일이다. 이때 지역구별로 대진표가 만들어진다. 공무원 등 입후보 제한직에 있는 사람이 예비후보로 등록하려면 신청 전까지 사직해야 한다. 현직 장관 등이 내년 총선 후보자로 등록하기 위해선 선거일 90일 전인 다음 달 11일까지 사직해야 한다.
중앙선관위는 오전 9시부터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을 접수했다. 오후 3시 기준 전국 253개 선거구에선 예비후보자 약 60명이 등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시스템에 따르면 같은 시간 서울 지역 예비후보 등록자는 12명이었다. 서대문 갑과 을 각 1명과 2명, 금천구 2명, 중성동을 1명, 영등포 갑 2명, 을 1명 등이다.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는 마포갑에는 벌써 3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그나마 예비후보자로 등록하면 소극적인 범위 내에서 선거운동이 가능해 하루라도 빨리 예비후보로 등록하는 게 유리하다고 한다. 등록 현장에서 만난 박용찬 국민의힘 영등포을 당협위원장은 "2020년 낙선 후 4년간 인생에서 가장 열심히 준비해온 순간"이라며 "좌고우면 고민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예비후보로 등록해서 하루라도 더 빨리, 더 많이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첫날 등록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아직 선거구를 획정하지 못하면서 현 선거구는 의미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등포 지역은 선거구가 분구될 가능성이 낮아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선거운동에 집중할 수 있지만 선거구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선 이마저도 힘들다. 원외 후보자는 인지도와 선거운동에서 제약이 따르는 것과 함께 불확실성과도 사투를 벌여야 한다.
제3지대와 야당 내부 갈등도 이번 선거에서 관전 포인트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이낙연 전 국무총리 간 '낙석연대'는 제3지대론 중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다.
야당 내부 갈등 양상도 관건이다. 민주당 비례대표 의원들이 '친명(친이재명) 자객'을 자처하며 같은 당 소속 현역 의원 지역구에 잇따라 총선 출사표를 내면서 지도부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