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고영건 신소재공학부 교수, 3차원 얽힘구조 화학신소재 기술 개발
2023-12-10 07:48
경계없는 얽힘구조(Reticular) 나노화학신소재의 학술적 원리 및 산업적 방향성 제시
바이오 의학·청정 물 산업·에너지 전환 사업 등 산업에 활용 기대
신소재 분야 세계적 학술지(Nano-Micro Letters) 게재로 학술 가치 인정
바이오 의학·청정 물 산업·에너지 전환 사업 등 산업에 활용 기대
신소재 분야 세계적 학술지(Nano-Micro Letters) 게재로 학술 가치 인정

이번 연구를 통해 3차원 얽힘구조를 갖는 화학신소재 핵심 기술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리티큘라(Reticular, 얽힘구조) 화학소재는 금속 이온과 유기물 링커 사이의 화학결합으로 생성되어 자체적인 규칙 구조로 인해 1g 당 축구장 1개 넓이의 표면적을 갖는 신물질이며 대표적으로 금속유기골격(Metal-Organic Framework)이 있다. 이번에 제안한 화학신소재는 바이오 의학, 청정 물 생산, 에너지 전환 산업 등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융복합 소재기술의 주춧돌이 될 산업적 잠재력이 높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시행착오를 통한 개발이 아닌 분자수준 계산과학을 활용한 소재 구조 예측 가능성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고 교수 연구팀 소속 샤우키 박사와 메리암 박사와 진행 했으며 영남대 신소재공학부의 독자적인 연구력으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고영건 교수는 “전 세계 우수 학문후속세대가 영남대에서 학위를 받고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번 연구 성과가 화학신소재 분야에서 영남대 연구력이 세계 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점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