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연체율 비상'...금감원, 12월 건전성 관리 '총력'

2023-11-19 16:00
부동산PF 대출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유동성 악화
금감원, 연체율 관리·부실채권 매각·충당금 적립 주문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다음 달 상호금융권 '연체율 관리'에 착수한다. 상호금융권은 부동산 침체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늘어나면서 자산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상태다. 금융당국은 적자 조합을 중심으로 연체율 관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잠재적 부실 대응을 위한 '실탄 확보' 주문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내달 일부 상호금융조합을 현장 점검하고, 연체율 관리와 대손충당금 적립을 주문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주 상호금융중앙회에 각 조합별 영업 현황 파악과 적자 조합에 대해 자산건전성 점검을 실시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상호금융권의 경우 반기별로 영업실적을 발표하는데, 연말 하반기 실적이 공개되기 전 건전성 관리를 주문하기 위한 조치다.
 
금감원이 연말 발표 전 연체율 관리 등을 주문하는 이유는 일부 부동산 PF 부실이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부동산담보대출 비중이 큰 상호금융권의 경우 최근 부동산 경기가 둔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기업대출 연체율은 4.21%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2.23%)보다 1.98%포인트(p) 뛴 수치다. 가계대출 연체율까지 포함한 전체 연체율은 1.52%에서 2.8%로 상승했다.

유동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유동성 비율은 3개월 내 현금화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100% 이상이 안전하다. 올해 6월 말 기준 상호금융권 개별 조합 전체(2213곳) 중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인 곳은 62.3%(138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경우 대규모 자금이탈이 발생할 것을 우려해 선제적으로 현금성 자산을 쌓아뒀다.
 
유동성 비율 100% 미만이 가장 많은 곳은 농협조합이다. 총 1118곳 중 1053곳(93.2%)이 100% 미만이었다. 수협 89곳 중 60곳(67.4%), 산림조합 133곳 중 45곳(33.8%), 신협 873곳 중 222곳(25.4%)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평균 유동성 비율은 316.4%에 달한다. 상호금융권은 시중은행과 달리 유동성 비율 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있어 건전성 관리의 '사각지대'로 꼽힌다.

부동산 PF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이 더욱 커질 수 있어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실제 충당금 적립액을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NPL)으로 나눈 NPL 커버리지 비율도 상호금융권에서 크게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신협 개별 조합의 NPL 커버리지 비율은 59.1%로 지난해 말(81.4%) 대비 22.3%p 하락했다. 농협의 경우 108.8%로 전년 말(170.9%) 대비 62.1%p 떨어졌다. △수협 68.8% △산림조합 64.7% 모두 NPL 커버리지 비율 100%를 크게 하회했다. 4대 은행 평균 NPL 커버리지 비율 233.2%와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상호금융권의 NPL 커버리지 비율 감소는 자산건전성 악화에 대비해 준비해 둔 충당금보다 부실채권이 더 많아졌다는 의미로 향후 잠재적인 부실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축소됐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상호금융권에 대해 연체율 관리와 부실채권 매각, 충당금 적립 등 이른바 '실탄 확보'를 강조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고 적자인 조합을 추려 빠른 시일 내로 상호금융중앙회에 전달해 점검을 요청하고 일부 조합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이 내달 중 현장 점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