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매각' 안갯속으로…산학 전문가들 "영구채 불확실성 해소가 우선"

2023-10-18 18:00

HMM 인수와 관련 영구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해운업의 불황 사이클을 안고 갈 수 있는 '적정 기업'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해양기자협회는 18일 오전 10시 서울 영등포구 해운빌딩 10층 강당에서 'HMM 매각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개최했다. HMM의 매각가격이 5조∼7조원 정도로 전망되는 상황인데 인수 희망 기업의 자금력으로는 HMM을 인수하기 어려워 유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이번 토론회에는 학계에서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좌장)와 한종길 성결대 교수가, 업계에서는 김종현 전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투자본부장과 이용백 전 HMM 대외협력실장이 참여했다. 시민단체에서는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국장이, HMM 사원들을 대표해서 이기호 HMM 노조위원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이 전 실장은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불확실성"이라며 "영구채를 어떻게 할 건지 명확하게 해야 '메인 플레이어'가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 보니 현대차, 포스코 등 HMM을 인수해서 충분히 경영할 만한 기업이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MM이 발행한 영구채 중 이번 매각 대상에 포함된 제192회 전환사채(CB)와 제193회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각각 8000만주와 1억2000만주로의 보통주 전환이 예고돼 있다. 이 외에도 내년부터 금리 스텝업이 적용되는 CB 등 총 3억3600만주에 달하는 잠재 주식 전환 물량이 추가로 남아 있다.

이날 참석자 전원은 산업은행(산은)과 해양진흥공사가 남은 영구채에 대해서는 HMM의 조기 상환 요구를 받아주거나 우호 지분으로 남는 방안을 거론하며 인수 희망 기업의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전 실장은 "처음 현대상선을 지원한 것도 정무적 판단이었고, 마지막 임자를 찾는 상황도 정무적 판단으로 정해줘야 한다"며 "영구채의 위험성과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결정을 내린 뒤에 적절한 임자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권 국장은 "(산은이) 오히려 영구채 전환방침으로 배임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며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김 전 본부장도 "(산은이) 웬만큼 이자와 배당금을 받았으며 HMM도 정상으로 돌아왔다"며 "조기 상환을 받아주면 사가는 회사 입장에서도 여유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영구채를 (주식 전환가액인) 5000원에 미리 매각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면 큰 기업도 할 수 있는 데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운업이 침체에 빠진 만큼 인수 후보 기업의 위기 관리 능력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교수는 "3분기 HMM의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대외적으로는 최근 EU가 정기선 운항동맹을 더 이상 못하게 하는 등 해운업 상황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물동량은 연간 3% 증가하지만 선대 증가율은 17~18%나 되는 등 수급불균형이 극심하다"며 향후 6~10년간 치킨게임이 진행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전 실장도 "HMM이 글로벌 10대 선사로 일어섰고 선복량이 80만 TEU(1TEU는 길이 6m짜리 컨테이너 1개)이니 2~3년 내 100만 TEU는 달성할 것"이라며 "하지만 이 정도로는 선대가 600만 TEU를 향해 가고 있는 글로벌 1~4위 해운사들에 비해서는 크게 뒤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 전 본부장은 "누가 갖고 가더라도 HMM이 보유한 현금을 배당금 등으로 손대지 않고, HMM을 위해서만 쓰겠다는 전제조건을 달았으면 한다"며 "(HMM은) 새로 선박도 구매해야 하고 항만과 터미널, 물류 시설 등 투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해양기자협회는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해운빌딩 10층 강당에서 ‘HMM 매각 어떻게 해야 하나’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열고 현재의 상황을 진단했다. [사진=한국해양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