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치유농업으로 농업·농촌 새 길 모색해야
2023-10-18 05:00
농업이 전통적인 농사 개념을 넘어 국민의 건강 회복·유지·증진 등 치유를 목적으로 다양한 농업·농촌 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활용된다. 정부는 지난 2021년 3월 국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적으로 치유농업(Care Farming)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을 제정했다.
치유농업은 원예치유에서 시작됐다. 농촌진흥청은 1994년 꽃, 채소 등 원예작물의 치유 효과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2013년에 치유농업 개념을 정립, 건강 증진 효과를 계속 검증해 왔다. 올해 8월에는 치유농업 활동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손 기능, 일상생활 수행 능력 같은 신체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주말농장에서 씨 뿌리기, 꽃밭 가꾸기, 허브차 만들기 등의 활동을 통해 우울증이 60% 감소하고 총콜레스테롤과 체지방도 일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스트레스 호르몬이 28.1% 감소하고 인슐린 분비 기능은 47% 증가했다.
치유농업 교육을 이수한 직원들을 전문 치유농업사로 양성한다. 치유농업사는 농업·보건·상담·심리에 전문성을 갖추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하는 전문 인력이다. 치유농업을 농촌복지의 일환인 요양원이나 관광농업과 연계해 사업성이 지속적으로 담보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치유농업으로 가장 앞서있는 국가는 '케어팜'으로 널리 알려진 네덜란드다. 작물 생산 중심의 전통적 농업으로는 더 이상 농업·농촌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보고 자연경관, 환경보전, 휴식 등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케어팜은 농업을 통한 다양한 활동과 돌봄 서비스를 결합한 것이다. 케어팜의 주 수요층은 건강의 회복·유지·증진 등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그동안 농업·농촌의 자원을 활용하는 농촌관광농업, 경관농업, 농촌형 민박 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을 많은 예산과 시간을 투자하여 추진해 왔으나 농업인의 실질적인 소득 증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경기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치유농업센터'를 만들고 예산을 지원하는 등 치유농장을 정책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농협도 치유농업이 과거 사례들처럼 잠깐 관심을 끌다 흐지부지되지 않도록 경영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농업인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농협을 중심으로 관내 치유농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등 장기적으로 사업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