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빚도 폭증] 인뱅 가세에 상환 유예 종료까지…전문가들 "2~3년 뒤 부실 부메랑으로"

2023-10-10 19:00
"상환유예 중단에 억눌린 부실 터질수도"
"인뱅 대출 수요자 내 다중채무자 다수"
"높은 부동산대출 비중 악재"
"2금융권 전이 리스크도"

[사진=연합뉴스]

금융 전문가들 역시 은행의 기업대출이 당장 자산 증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2~3년 후 '부실'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개인사업자대출 비중을 키우는 데다 지난달 말 정부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사업자들에 대한 이자 상환 유예를 종료하면서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고금리 영향으로 공급망 대란과 경기 침체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들이 늘면서 살기 위한 대출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은행들이 무조건적으로 대출 수요를 받다 보면 연체율 증가에 따른 부실 위험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더구나 중소‧소상공인 대상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가 3년 가까이 이어져 온 상황에서 최근 당국이 관련 조치를 중단하면서 억눌린 부실이 2~3년 뒤 한꺼번에 터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인터넷전문은행들도 개인사업자 대출의 비중을 키우면서 기업대출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 개인사업자대출의 경우 다중채무자가 많기 때문에 잠재적 부실 가능성이 높다"며 "기업대출을 늘리기 위한 영업력 못지 않게 은행 간 리스크 관리 역량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은행권 기업대출에서도 부동산 관련 금융 대출이 많은 것을 고려할 때 이는 향후 국내 경제 발목을 잡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항용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최근 몇 년 동안 불어난 기업금융에서도 부동산 관련 대출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이는 가계대출 중에서도 부동산 담보대출이 빠르게 불어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건설업, 임대업,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자 등 어느 쪽이든 부동산 관련 대출로 귀결되기 때문에 가계부채 급증 우려와도 맞닿아 있을 수 있다"면서 "부동산 금융도 필요하지만 과도한 쏠림은 필요한 산업으로 배분돼야 할 자금을 제한해 경기 잠재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상대적으로 부실 우려가 있는 제2금융권에서 리스크가 전이될 가능성이 걱정된다는 반응도 나왔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결국 건전성 우려가 더욱 큰 제2금융권에서 비롯된 부실 리스크가 은행권으로 전이될 수 있고, 은행권은 악순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서라도 '배드뱅크'식 출자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 "반복된 부실 위기에서 은행들이 보수적인 건전성 관리를 지속해왔으나 간접적인 부실 우려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대내외 거시경제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고 현저히 높아진 금리 변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다만 한국은행 신용위험지수, 은행 대출 태도 등을 보면 현재 은행들은 중소기업대출 취급 시 반드시 담보를 받고 있고 최소한 보증서라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