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주택 입주 9만명 대기하는데…'빈집'은 4만3000호 넘어
2023-09-26 10:03
공실률 최고 지역 충북 11.9%·최저 지역 제주 0.9%
1년 이상 장기 공실 손실액, 최근 5년간 1683억원
허영 의원 "임대주택 공급 관리·정비에도 힘써야"
1년 이상 장기 공실 손실액, 최근 5년간 1683억원
허영 의원 "임대주택 공급 관리·정비에도 힘써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관 전국 임대주택 중 4만3000호 이상이 미임대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LH 임대주택 공실 현황을 살펴보면 건설임대주택이 3만8901호, 매입임대주택이 4859호로 각각 집계됐다.
건설임대주택 중 가장 높은 공실률을 보인 유형은 '신축다세대'로, 무려 20.3%의 공실률을 기록했다. 그 뒤로는 행복주택(9.0%), 영구임대(7.2%) 등이 뒤를 이었다.
공실 기간별로 보면 '6개월~1년' 범위의 공실이 2만2849호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공실(4만3760호)의 절반 이상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1년~2년'에 해당하는 공실이 1만3045호로 약 30%의 비중을 차지했다. '2년~3년'의 기간 동안 공실이었던 호수도 5302호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게 임대주택이 공실로 유지되면서 생기는 손실액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실 기간 '1년 이상'으로 기준으로 잡았을 때 임대료와 관리비 명목으로 지출되는 비용은 1683억원이나 되며, 연도별 손실액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국 수요와 공급 사이에 심각한 불일치가 발생한 상황인데, 이처럼 다수의 임대주택 공실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LH의 설명 등을 고려했을 때 수요 예측 실패로 인한 초과 공급, 불편한 입지와 주변 인프라 부족, 노후화로 인한 선호도 하락, 작은 평형, 지역별 임대주택 수요 차이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허 의원은 "국토부와 LH는 단순히 계획 공급 물량의 소화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수요자의 선호도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신규 공급 시에는 유형별 수요 분석을 철저히 해야 하며, 노후 단지는 리모델링 등 재정비에 적극 나서서 임대주택의 인식 개선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