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범죄자도 명절이 대목... 피해 예방 수칙은?
2023-09-21 13:23
과기정통부, 방통위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용자 준수 사항 발표
문자사기(스미싱) 피해 건수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는 명절을 노린 범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해 이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금융위원회(금융위), 경찰청(청장 윤희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감독원(금감원) 등 관계부처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 △교통 범칙금 조회 △명절 인사 등을 사칭한 범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3년간 스미싱 피해 현황을 분석해 보면 택배 배송 사칭 유형이 28만여 건으로 전체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 명절에도 가족, 지인 간 선물배송이 증가하는 상황을 악용하는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완화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면서 따라 건강검진, 교통 범칙금 등 공공기관 사칭이나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의 사기도 올해 급증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고향 방문 등 차량 이동 증가를 틈탄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나 안부인사 등을 사칭하는 악성 문자도 지속 유포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메신저 앱을 통해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며 긴급한 상황이라며 금전,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스미싱에 속아 공격자에게 개인정보를 넘기거나 원격제어용 악성 앱이 설치되면 상당한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전화나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이 같은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택배 조회, 명절 인사, 모바일 상품권·승차권·공연예매권 증정, 지인사칭 문자에 포함된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URL)나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을 것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은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보안설정을 강화하고,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 등을 통해 설치할 것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 업데이트와 실시간 감시 상태를 유지할 것
△본인인증, 정부지원금 등 명목으로 신분증 등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주지 않을 것
△대화 상대방이 개인·금융정보, 금전, 앱 설치 등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할 것
△신분증 사진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내에 저장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사진을 바로 삭제할 것
△본인도 모르는 휴대전화 개통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엠세이퍼 홈페이지에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를 신청할 것
이와 함께 정부는 국민이 편안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신고·접수된 정보를 분석해 피싱 사이트와 악성 앱 유포지를 긴급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개인 PC와 모바일 기기 정보보안 수준을 점검하고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내PC·모바일 돌보미'서비스를 제공한다. 고령층, 장애인, 아동 등 정보보호 실천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노인․장애인 복지센터, 키움 아동센터 등에 보안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는 보안점검 서비스도 진행한다.
이동통신사와는 공동으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신종 수법 피해 예방을 위해 전국 2만3000개 휴대폰 판매 유통점과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대국민 홍보를 진행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통 3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각 통신사 명의로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권과 공동으로 문자사기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집중 홍보기간을 운영한다. 피해 예방 방법과 피해 발생 시 대응 요령을 포스터, 리플렛, 만화 영상 등으로 제작·배포한다.
경찰청은 문자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인 '사이버캅'을 통해 예방 수칙·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 추석 연휴 기간 전후로 발생하는 문자사기, 직거래 사기 등 서민 생활을 침해하는 사이버상 악성사기에 대해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사이버 범죄 피해를 입은 경우 112나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이용해 신고를 접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금융위원회(금융위), 경찰청(청장 윤희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감독원(금감원) 등 관계부처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 △교통 범칙금 조회 △명절 인사 등을 사칭한 범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3년간 스미싱 피해 현황을 분석해 보면 택배 배송 사칭 유형이 28만여 건으로 전체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 명절에도 가족, 지인 간 선물배송이 증가하는 상황을 악용하는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완화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면서 따라 건강검진, 교통 범칙금 등 공공기관 사칭이나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의 사기도 올해 급증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고향 방문 등 차량 이동 증가를 틈탄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나 안부인사 등을 사칭하는 악성 문자도 지속 유포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메신저 앱을 통해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며 긴급한 상황이라며 금전,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스미싱에 속아 공격자에게 개인정보를 넘기거나 원격제어용 악성 앱이 설치되면 상당한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전화나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이 같은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택배 조회, 명절 인사, 모바일 상품권·승차권·공연예매권 증정, 지인사칭 문자에 포함된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URL)나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을 것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은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보안설정을 강화하고,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 등을 통해 설치할 것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 업데이트와 실시간 감시 상태를 유지할 것
△본인인증, 정부지원금 등 명목으로 신분증 등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주지 않을 것
△대화 상대방이 개인·금융정보, 금전, 앱 설치 등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할 것
△신분증 사진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내에 저장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사진을 바로 삭제할 것
△본인도 모르는 휴대전화 개통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엠세이퍼 홈페이지에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를 신청할 것
이와 함께 정부는 국민이 편안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신고·접수된 정보를 분석해 피싱 사이트와 악성 앱 유포지를 긴급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개인 PC와 모바일 기기 정보보안 수준을 점검하고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내PC·모바일 돌보미'서비스를 제공한다. 고령층, 장애인, 아동 등 정보보호 실천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노인․장애인 복지센터, 키움 아동센터 등에 보안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는 보안점검 서비스도 진행한다.
이동통신사와는 공동으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신종 수법 피해 예방을 위해 전국 2만3000개 휴대폰 판매 유통점과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대국민 홍보를 진행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통 3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각 통신사 명의로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권과 공동으로 문자사기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집중 홍보기간을 운영한다. 피해 예방 방법과 피해 발생 시 대응 요령을 포스터, 리플렛, 만화 영상 등으로 제작·배포한다.
경찰청은 문자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인 '사이버캅'을 통해 예방 수칙·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 추석 연휴 기간 전후로 발생하는 문자사기, 직거래 사기 등 서민 생활을 침해하는 사이버상 악성사기에 대해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사이버 범죄 피해를 입은 경우 112나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이용해 신고를 접수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