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당뇨 경험한 여성, 지방간 있으면 당뇨병 위험 '6배'

2023-09-20 13:23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 조유선 교수,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팀 연구 결과

[사진=강북삼성병원]
임신성 당뇨 병력이 있는 여성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은 서울건진센터 조유선 교수와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 장유수 교수 연구팀이 2015년에서 2019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여성 중 한 번 이상의 출산력이 있는 여성 14만여명을 3.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우선 임신성 당뇨는 건강한 여성에게서 임신 20주 이후 당뇨병이 처음 발견되는 경우를 말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 이외의 원인으로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증상이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들을 과거 임신성 당뇨 병력 및 지방간 유무에 따라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이 없고 지방간 현 병력이 없는 그룹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만 있는 그룹 △지방간 현 병력만 있는 그룹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과 지방간 현 병력 모두 있는 그룹으로 나눴다.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과 지방간 현 병력이 모두 없는 그룹에 비해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만 있는 그룹은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2.61배 높았다. 지방간 병력만 있는 그룹에서는 2.26배,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과 지방간 병력이 모두 있는 그룹에서는 6.45배 높았다.

조유선 교수는 “임신성 당뇨 병력이 있는 여성은 추후 제2형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고 신체활동을 늘리며 과다한 당분 섭취를 제한하는 등 지방간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러피안 저널 오브 에피데미올로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