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핵수석대표, 北 미사일에 "강력 규탄"

2023-08-24 11:11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
"북한 주민들 민생 아랑곳하지 않고 수억불이 소요되는 '우주발사체' 도발" 개탄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24일 오전 시민들이 서울역 대합실에서 방송으로 관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24일 북한이 이른바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것에 대한 유선협의를 진행하고, 북한의 발사 시도를 강력히 규탄했다. 

앞서 북한은 이날 오전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이번 발사는 지난 5월 31일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에 실패한 이후 85일 만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북핵수석대표는 3자 유선협의를 갖고, 북한의 소위 '우주발사체' 명목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3국 수석대표는 "이번 발사가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임을 강조한다"며 규탄했다. 

또한 "주변국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로서, 북한이 지난 5월 31일 발사에 이어 이번에도 항공기, 선박들의 안전을 무시하며 발사를 강행한 데 대해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전했다. 

특히 3국 수석대표는 북한이 지난 5월과 이번 발사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10월 또 다른 발사를 예고한 것에 "도탄에 빠진 북한 주민들의 민생은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수억 불이 소요되는 무모한 소위 ‘우주발사체’ 도발을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도발을 거듭할수록 한·미·일과 국제사회의 대북 공조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북한의 안보와 경제는 더욱 취약해질 뿐임을 강조했다.

아울러 3국 수석대표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일 대응능력 강화 △사이버 해킹, 해외 노동자, 해상 밀수 등 불법 자금원 차단 공조 강화 △북한인권 증진 협력 강화 등 지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의 3국 정상 간 합의 후속조치에 더욱 박차를 가해나가기를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