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체면 구긴 北김정은, 군사정찰위성 또 실패

2023-08-24 07:07
北, 군사정찰위성 재발사…첫 발사 실패 후 85일 만
합참 "北 주장 우주발사체 추적·감시…실패로 평가"
北, 실패 인정…"비상폭발체계 오류…10월 3차 발사"

북한이 지난 5월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6월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은 24일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지난 5월 31일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에 실패한 이후 85일 만이다. 연이은 발사 실패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체면을 구기게 됐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은 오늘 3시 50분경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우리 군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징후를 사전에 식별해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었으며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고, 실패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북한도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우주개발국은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 운반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제2차 발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신형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의 1계단(단계)과 2계단은 모두 정상 비행했으나 3계단 비행 중 비상 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인정했다.
 
이어 “국가우주개발국은 해당 사고의 원인이 계단별 발동기들의 믿음성과 체계상 큰 문제는 아니라고 설명하면서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대책한 후 오는 10월에 제3차 정찰위성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지난 21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는 한·미 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UFS 기간에 맞춰 일본 정부에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다.

북한은 지난 5월에도 일본에 통보한 ‘예고 기간’ 첫날에 바로 정찰위성을 쏘아 올렸는데, 이번에도 예고 기간 첫날에 정찰위성을 발사했다. 
 
여기에 다음 달 9일 정권 수립 75주년 기념일(9·9절)을 앞두고 주민들에게 대대적으로 선전할 군사적 성과가 필요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합참은 “이번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확고한 연합방위태세하에 진행 중인 UFS 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게 지속 시행하겠다”며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한 가운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