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푸드·펫헬스케어 국가전략산업 육성…지원법 제정 추진

2023-08-09 09:00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8월 7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6호 태풍 카눈 대처상황 및 대응방향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펫푸드, 펫헬스케어 등 반려동물 연관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4대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성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해외 수출산업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연관산업 시장은 최근 양육인구 증가와 동물 지위 상승 등으로 확대·고급화하면서, 고용효과가 높은 신성장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는 2012년 364만 가구에서 지난해 602만 가구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국내시장 규모는 지난해 8조원에 이르지만 이는 세계시장 대비 1.6% 수준에 불과하며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해 반려동물에 적합한 분류‧표시‧평가 제도와 인프라 등 정책적 지원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펫푸드, 펫헬스케어, 펫서비스, 펫테크를 4대 주력 산업으로 선정하고 맞춤형 육성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펫푸드는 가축용 사료와 구분하기 위한 특화제도를 내년까지 마련하고 신제품 개발을 위한 원료의 안전성 평가와 원료등록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펫헬스케어 부문에서는 진료비 부담완화를 위해 100여개 다빈도 진료 항목에 대한 부가세를 10월 1일부로 면제한다. 연내 100개 진료행위 표준화를 완료하고 진료비 게시 항목을 확대해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방침과 또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상품 개발, 판매·청구의 간편화도 추진한다. 

펫서비스 분야는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제도 도입(2024년 4월), 동물보건사 제도개선(2024년) 등을 통해 양질의 서비스‧의료 인력 공급 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펫테크 새싹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자금지원, 판로 등도 지원한다. 

정부는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실증 기반시설 조성과 벤처 및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내년까지 연관산업에 특화된 자펀드 100억원을 신규 조성할 계획이다. 

이어 수출 전략산업화를 위해 시장조사부터 수출바우처, 해외규격인증, 의약품 등 안전성 보장 관리기준(GMP) 제도를 신설해 시장개척을 지원한다. 

이밖에 연관산업을 종합·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별도 법률 제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펫휴머니제이션, 기술혁신 등 급변하는 시장과 국내 및 해외 반려인의 눈높이에 맞춰 펫푸드를 포함한 연관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통해 내수시장 활성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해 수출 산업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