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서 '정체불명 소포' 신고 잇따라…유사 국제우편 반입 일시 중단(종합)

2023-07-21 20:02

정체불명 국제우편물 확인하는 소방당국. 21일 오전 11시 18분께 대전 동구 주산동 한 가정집 우편함에 정체불명의 국제우편물이 있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당국이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 각지에서 정체 불명의 해외 발 소포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유사한 신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비슷한 유형의 국제 우편물 반입을 일시 중단키로 했다.

21일 울산소방본부와 울산 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일 낮 12시 29분께 울산 동구 한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대만발 국제우편물로 추정되는 노란색 소포를 개봉한 시설 관계자 3명이 어지럼증과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며 병원에 이송됐다. 이들 3명은 격리병상에 입원 중으로, 현재는 증세가 호전돼 건강에 이상이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6시께 동울산우체국에서도 우편물류과 집배실에서 우편물 분류 중 같은 주소지로 보내는 대만발 소포가 추가 발견됐다.

경남 함안군에서는 이날 오전 8시 58분께 칠원읍 소재 모 건설사 대표이사 A씨가 사무실에 해외 우편물을 보관 중이라고 신고했다.

전날 독극물 의심 소포 관련 보도를 접한 A씨는 이날 아침 칠원지구대를 방문해 사무실에 2개월여간 보관 중인 수취인 불명 해외 우편물이 의심된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우편물에 대한 1·2차 화생방 간이진단을 시행한 결과 특이점은 없었으며, 해당 종이에도 별다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해당 우편물은 하얀색 봉투에 담겨 있었으며 발송지는 말레이시아로 확인됐다.

제주에서도 유사한 소포가 배달됐다는 신고가 있었다. 제주도와 제주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50분께 제주시에 거주하는 B씨가 "수상한 소포를 받았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B씨가 받은 소포는 울산에서 발견된 소포와 비슷한 노란색 봉투에 들어있었으며, 대만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는 경찰과 소방, 군 등 관계기관과 함께 현장에 나가 폭발물과 방사능, 화학물질, 생화학 검사를 했으며 그 결과 모두 음성 또는 불검출로 나타났다. 보건환경연구원이 해당 소포를 임시보관 중으로 조만간 국방과학연구소가 정밀 분석 작업할 예정이다.

대전에서도 이날 오전 11시 18분께 동구 주산동 한 가정집에서 정체불명의 국제우편물이 발견됐다. 이 집 우편함에서 발견된 우편물은 대만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투명한 비닐 포장지에 싸인 이 우편물 내부에는 립밤으로 추정되는 물건이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편물 주소지는 2020년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정체불명의 씨앗이 배달돼 논란을 일으켰던 대만발 우편물 주소지와 같은 것으로 파악됐다. 비슷한 시간 동구 추동의 한 식당에서도 유사한 신고가 접수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에서도 유사한 신고가 잇따라 나왔다. 

서울 서초경찰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사는 한 시민이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대만에서 배송됐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신고자에게 우체국에 소포를 반송하라고 안내한 뒤 오후 2시께 출동해 소포를 확인했다. 소포 내용물은 냄새가 없는 반죽 형태의 물품으로 폭발물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으며, 정확한 성분 분석을 위해 군이 소포를 회수했다.

서울 명동중앙우체국과 은평우체국에서도 이날 오후 유사한 소포가 발견됐으며, 마찬가지로 정확한 성분 분석을 위해 군이 회수해 조사할 방침이다.

인천 부평구와 계양구에서도 이날 오후 해외 우편물이 왔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이밖에 경기 용인에서도 이날 오전 11시께 처인구 포곡읍 한 공장에서 비슷한 우편물이 발견돼 관계자가 112에 신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유사한 유형의 국제 우편물 반입을 일시 중단키로 했다. 우정사업본부는 “해외 발송 우편물이 비닐 등으로 이중포장돼 있거나 주문한 적이 없다면 일단 의심하고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