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2022년 ESG 통합보고서 공개…"온실가스 1.7만톤 절감"
2023-06-30 14:59
개선된 7대 ESG 전략 소개…TCFD 이행 전략, 친환경 서비스 성과 보고서 함께 발간
네이버가 개선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7대 전략을 담은 2022년 통합보고서를 발간했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988억원 상당의 사회적 가치 창출 등 ESG 경영 실천 성과를 강조하며 ESG 선도 기업을 표방했다.
네이버는 2022년 ESG 경영 통합보고서에 국제기구(GRI, SASB 등)가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비재무적 활동 성과를 작성하고 7대 ESG 전략을 처음으로 소개했다고 30일 밝혔다. 네이버의 7대 ESG 전략은 △ESG 가치창출 플랫폼 구축 △구성원 성장 및 만족 △파트너 성장 지원 및 지역사회 상생 △지배구조 투명성 유지 및 선진화 △2040 Carbon Negative 달성 △정보보호·사이버 보안 리스크 최소화 △책임있는 비즈니스 운영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제2사옥 1784 운영 전력 일부를 재생에너지로 활용하는 제3자 PPA 계약을 맺고 모든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RE100’과 친환경 차량을 도입해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하는 ‘EV100’에 가입했다. 전년 대비 5배 이상의 재생에너지인 5.49기가와트시(GWh)를 사용하는 등 방법으로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 기준 온실가스 1만7414톤 배출을 절감했다.
중소상공인(SME)과 창작자를 지원하는 상생 캠페인 ‘프로젝트 꽃’으로 교육 지원, 스타트 제로 수수료, 성장 포인트, 빠른 정산 등으로 이뤄진 제도·재무적 지원 규모가 399억원 상당이다. 네이버는 여기에 △커넥트 재단을 통한 디지털 소외계층 교육 지원 △해피빈을 통한 재난재해 기부와 모금 △네이버 문화재단을 통한 문화예술 창작자 지원 활동 등을 함께 고려하면 지난해 988억원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셈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인 TCFD의 권고안에 따라 네이버는 2040년도 탄소중립 이행 계획과 전략을 보완한 보고서를 함께 공개했다. ESG 경영 방침을 실제 서비스까지 연계한 사례와 성과를 담은 그린 커머스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 소비자(그린슈머) 426만명이 네이버 플랫폼과 프로모션 지원을 통해 SME와 접점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