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의시대] 벤처기업 투자·고용 지방은 불모지...비수도권 소외 극심

2023-05-30 13:51
주요 광역시 인천도 벤처투자·고용 불모지 평가
전남 벤처투자·고용 '전국 꼴찌'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 숲. [사진=연합뉴스]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고용도 수도권에 쏠려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동향’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해 벤처투자 규모와 고용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서울의 벤처투자 금액은 3조3913억원, 2위 경기는 1조996억원이다. 서울과 경기를 합친 수도권이 전체 투자금액 80%가량을 차지한다. 3위 대전은 3557억원으로 서울과는 3조원가량, 경기와는 8000억원 가까이 차이가 났다.
 
고용 창출도 수도권 편중이 극심했다. 지난해 서울은 전년 대비 1만2409명 늘어 4만9384명을 기록했다. 2위를 차지한 경기는 1만618명에서 1만3379명으로 2761명 증가했다. 대전은 2690명에서 3557명으로 867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주요 광역시 인천도 벤처투자·고용 불모지 평가 
대전은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주요 광역시인 인천의 지난해 벤처·스타트업 투자 금액 규모는 699억원으로 전국 총 투자금액(5조7183억원)의 1.2%에 불과했다. 2021년 1.9%, 2017~2020년에는 평균 2.3%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크게 후퇴했다.
 
인천의 벤처·스타트업 고용자는 2304명으로 전년(2072명) 대비 11.2% 늘었다. 그러나 전국 평균 고용증가율(29.8%)에는 절반에도 못 미쳤다. 서울(33.6%)과 경기(26.0%)를 비롯해 부산(33.1%), 대전(32.2%), 대구(26.5%) 등 주요 광역시와 비교해도 격차가 컸다.
 
지방은 더욱 심하다. 특히 서울을 기준으로 남하할수록 벤처투자액과 고용 수치는 급감했다. 대표적으로 전남의 지난해 벤처투자액은 3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도 전남 벤처투자액(470억원)과 비교하면 92.9% 감소했다. 전남 벤처투자액은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에, 전국 벤처투자액(5조7183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1%에 그쳤다.
 
광주 또한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394억원을 기록, 2021년 말(561억원) 대비 29.7% 줄어들며, 투자액 규모가 5대 광역시 가운데 최저에 머물렀다. 전국 단위로도 벤처 투자규모가 17개 시·도 중 14위로 1년 전(12위)보다 두 계단 내려왔다. 광주 벤처투자액은 전국 투자액 중 0.7% 비중을 차지했다. 투자액 감소로 고용 부문 또한 경직되며 광주·전남은 벤처 고용 부문에서도 나란히 전국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벤처투자를 받은 전남 벤처·스타트업의 고용은 1년 새 14명 감소했다. 1년 새 고용이 감소한 지역은 전국 17개 시·도 중 전남이 유일했다.
 
광주 또한 지난해 말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의 고용이 2021년 말 165명에서 지난해 말 193명으로 28명 증가했다. 하지만 광주를 제외한 타 광역시(△대전 867명 △부산 392명 △대구 328명 △울산 123명) 고용 증가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광주 고용증가 순위는 고용이 감소한 전남에 이어 전국 시·도 중 16위를 기록했다.
 
1분기 벤처투자액, 실물경기 둔화 등 영향으로 60% 급감
이런 가운데 올해 1분기 벤처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6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쏠림은 물론, 올해 벤처 금융투자 시장에서 일부 대형 벤처캐피털과 유망 기업에만 자금이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1분기 벤처투자액이 881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0.3% 줄었다. 지난해 이후 지속한 실물경기 둔화, 고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및 회수 시장 부진 등의 영향이 컸다.
 
올해 1분기 벤처펀드 결성금액도 569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8.6% 감소했다. 보통 벤처캐피털(VC)은 펀드를 조성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데 VC들이 스타트업 투자를 위해 마련한 자금이 벤처펀드인 셈이다. 같은 기간 미국은 벤처펀드 결성금액이 84.1% 줄었다. 고금리로 자금조달 어려움이 커지고, 투자금을 단기간에 회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민간 출자자들이 벤처펀드 출자에 보수적인 태도를 보인 탓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