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공황장애 환자 5년간 44.5% 증가… 총진료비 '910억원'

2023-04-13 17:59

[그래프=국민건강보험공단]

공황장애 환자가 최근 5년 사이 4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21년 기준 910억원에 달했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공황장애 진료 인원은 2017년 13만8736명에서 2021년 20만540명으로 6만1804명(44.5%)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9.6%로 집계됐다.

환자수와 증가비율 모두 여성이 높았다. 남성 환자는 2021년 8만9273명으로 2017년 6만4662명 대비 38.1%(2만4611명) 늘었다. 이와 비교해 여성 환자는 2021년 11만1267명으로, 2017년 7만4074명 대비 50.2%(3만7193명) 증가했다.

연령대는 40대 환자가 4만6924명(23.4%)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3만8519명), 30대(3만6722명), 60대(26,686) 순으로 파악됐다. 박재섭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초기에 꾸준히 치료하지 않아 질병이 만성화하거나, 다양한 사회경제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황장애 총진료비는 2021년 기준 91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496억원)과 비교해 414억원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6.4%다.

진료비 구성은 40대가 24.9%(227억원)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40대 남성은 26.6%(106억원), 40대 여성은 23.6%(121억원)으로 파악됐다. 이어 30대 20.6%(187억원), 50대가 18.1%(16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 지출은 45만4000원이다. 2017년 35만7000원과 비교하면 27% 증가했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의 진료비 지출은 2017년 36만4000원에서 2021년 44만5000원으로 22.3% 늘어났다. 여성은 2017년 35만1000원에서 2021년 46만원으로 31% 증가했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심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질환이다.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몸의 떨림, 흉통 등을 동반하는 공황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