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 내 '블록버스터 국산 신약' 배출 도전장

2023-03-24 14:43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사진=보건복지부]

정부가 앞으로 5년 내 블록버스터급 국산 신약을 2개 이상 선보인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오후 2시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런 목표가 포함된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심의·의결했다.

종합계획은 지난달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발표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지원전략과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담았다.

종합계획은 2027년까지 달성할 목표로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연매출 약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사 3곳 △의약품 수출 160억 달러 △제약바이오 산업 일자리 누적 15만개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등을 제시했다.

우선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을 위해 전략적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한다. 5년간 민·관 R&D에 총 25조원을 투자한다. 보건안보 및 사회적 요구도 적극 대응한다. 미래 팬데믹에 대비해 백신을 초고속으로 개발하기 위한 차세대 백신 플랫폼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공공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과 ‘데이터뱅크’ 등을 통해 AI·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신약 개발도 추진한다.

국내 기업 대상 금융지원 및 창업지원이 강화된다. 정부는 ‘K-바이오백신 펀드’를 1조원 규모로 조성하고, ‘K-바이오 랩허브’와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를 통해 창업 기업의 R&D 및 사업화를 종합 지원한다. 해외로는 규제기관 대 규제기관(R2R) 협력,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PIC/S) 회원국 간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상호 면제 협력을 확대한다. 제약바이오 수출 원스톱 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수출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미국의 바이오 행정명령에도 지속적으로 대응한다.

산업계 인재 양성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합성·바이오의약품 생산인력 1만6000여명, 임상‧규제인력 1만3000여명, AI·빅데이터 활용 신약개발 전문가 등 융복합인력 4000여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약바이오산업 특성화대학원을 활성화하고, 세계보건기구(WHO)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총괄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한다.

각종 규제와 제도를 손질하고, 공급망 인프라도 확대한다.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를 설치해 의약품 허가 절차와 약가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1·2차 의료기관의 임상시험 참여를 확대하고, 국가임상시험관리시스템을 보급해 국내 임상시험 역량도 강화한다. 원료의약품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는 물론, 바이오 소부장 및 제조·생산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도 추진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향후 5년이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결정적인 시기”라며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과감한 혁신과 투자를 실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산업계 및 전문가들의 협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