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400례 달성
2023-03-06 11:14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은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400례를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2009년 5월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처음으로 성공한 이후 첫 100례 달성까지 6년이 걸렸다. 그 이후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의 증가에 힘입어 2018년 200례, 2021년 300례에 이어 지난달 13년 10개월 만에 400례를 달성했다.
400례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생체 이식에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의 비율은 첫 해 10% 정도였다가 그 비중이 점점 증가해 지난해 기준 45%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수혜자와 공여자의 관계는 부부간 이식으로 혈액형 부적합 부부간 이식은 총 400례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건 중 1건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은 고령환자 이식 및 고도 감작 다장기 이식까지 영역이 확대됐다. 최고령 환자는 73세이고,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비율은 6%(23건)였다.
재이식으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은 경우는 48건, 세 번째 이식도 4건이었으며 고도 감작과 혈액형 부적합이 동시에 존재하는 고위험군은 64건(16%)이었다. 신장과 간 동시 이식받은 환자에서 시행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도 3건이었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2009년 5월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처음으로 성공한 이후 첫 100례 달성까지 6년이 걸렸다. 그 이후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의 증가에 힘입어 2018년 200례, 2021년 300례에 이어 지난달 13년 10개월 만에 400례를 달성했다.
400례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생체 이식에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의 비율은 첫 해 10% 정도였다가 그 비중이 점점 증가해 지난해 기준 45%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수혜자와 공여자의 관계는 부부간 이식으로 혈액형 부적합 부부간 이식은 총 400례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건 중 1건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은 고령환자 이식 및 고도 감작 다장기 이식까지 영역이 확대됐다. 최고령 환자는 73세이고,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비율은 6%(23건)였다.
재이식으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은 경우는 48건, 세 번째 이식도 4건이었으며 고도 감작과 혈액형 부적합이 동시에 존재하는 고위험군은 64건(16%)이었다. 신장과 간 동시 이식받은 환자에서 시행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도 3건이었다.
이식 신장의 생존율, 즉 이식받은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투석이나 재이식이 필요하지 않은 비율은 이식 후 1년 98%, 5년 93%, 10년 84%로 일반 생체 이식과 비교해 뒤지지 않는 경과를 보인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박순철 장기이식센터장(혈관·이식외과 교수)은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도입되면서 과거 혈액이 맞는 공여자가 없어 이식할 수 없었던 환자들에게 이식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었다”며 “필수 약제와 검사의 발전 및 보험 적용의 확대에 따라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순철 장기이식센터장(혈관·이식외과 교수)은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도입되면서 과거 혈액이 맞는 공여자가 없어 이식할 수 없었던 환자들에게 이식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었다”며 “필수 약제와 검사의 발전 및 보험 적용의 확대에 따라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