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업계, 다음주 車보험료 일제히 2%대 인하…추가 인하 검토 '촉각'

2023-02-22 09:29
고액 성과급 논란 속 인하 폭 작다는 목소리도

[사진=연합뉴스]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다음주 일제히 자동차 보험료를 인하한다. 최대 2.5%의 인하가 예정돼 있는데, 최근 보험권의 성과급 잔치 논란 속 추가 보험료 인하가 검토될 지 이목이 집중된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험은 오는 25일, 현대해상과 DB손해보험은 오는 26일부터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를 각각 2.0% 내린다. 삼성화재는 오는 27일 2.1% 인하한다. 메리츠화재는 오는 27일 책임 개시 건부터 2.5%를 내린다. 앞서 롯데손해보험은 지난달 1일부터 2%를 내렸다.

손보사들은 지난해 말 당정으로부터 고물가에 따른 고객의 경제적 고통 분담에 동참하라는 압박을 받았다. 이에 관련 결정을 내렸다. 지난해 4∼5월에도 해당 이유로 자동차 보험료를 1.2∼1.3% 내린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손해보험권의 '성과급 잔치'로 여론이 악화되면서, 연내 보험료를 추가로 내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메리츠화재는 연봉의 50~60% 수준을 성과급으로 책정했으며 삼성화재는 연봉의 47%, DB손보는 연봉의 41%, 삼성생명은 연봉의 23%를 지급했다. KB손보는 월 상여금 기준 550%를 성과급으로 책정했으며 현대해상은 연봉의 30% 내외를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해들어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삼성화재, DB손보,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보 등 대형 5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79.8%로 전년(81.8%) 대비 2.0%포인트 개선됐다. 각사별로 현대해상은 79.9%로 5%포인트 떨어졌고, DB손보 80.0%, KB손보 78.9%로 각각 4.1%포인트, 2.2%포인트 개선됐다. 

이들 5개 대형사의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이 90% 수준에 육박하는 만큼, 보험권은 올해 첫달 자동차보험 부문서 흑자 기조가 점쳐지고 있다. 손보사들은 통상 사업비를 고려해 '77~80% 초반대'를 적정 손해율 수준으로 보고 있다. 

다만 손보사들은 올해 손해율 상승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 거리두기 해제에 이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까지 해제되면서 차량 이동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외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원가 상승, 정비요금 인상, 자동차 보험료 인하 결정 등도 손해율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