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왜곡', 광주가 들끓고 있다...전남시민단체, 비상대책회의 결성

2023-02-19 19:01
5월 단체-특전사동지회 '화해와 용서' 선언식 "계엄군은 피해자"
광주전남 113개 시민사회단체 "사죄와 진상규명이 먼저" 한목소리

 

광주와 전남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19일 국립5.18민주묘지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박승호 기자]

광주가 들끓고 있다. ‘5·18왜곡'에 화가 났다.

113개 시민사회단체가 한 목소리를 내며 뭉쳤다. 80년 이후 처음이다.

스스로 반성하고 새로운 광주정신을 회복하자고 외쳤다.

앞으로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광주공동체 행동방향을 결정하기로 해 관심이 모아진다.

이들 단체는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광주본부를 비롯해 광주경실련, 광주YMCA, 광주YWCA,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흥사단, 전교조광주지부, 전국교수노조광주전남지부 등이다.

 

광주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박승호 기자]


왜 뭉쳤을까.

광주 내부에서 불을 질렀다.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가 대한민국특전사동지회와 손잡고 ‘용서와 화해를 위한 대국민공동선언’을 했기 때문이다.

19일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선언식 행사를 열었다.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특전사 동지회가 19일 대국민선언식을 열고 있다.[사진=애독자]


선언식에서 이들은 80년 5월 광주시민을 학살했던 계엄군을 피해자로 규정하고 ‘진지한 용서와 화해의 관점에서 계엄군을 위로하고 필요 시 법적 제도적 지원이 가능하게 하자’고 합의했다.
 
또 서로 정기적으로 교류하고 국립현충원과 국립5·19민주묘지를 참배하기로 했다.
 
특히 특전사동지회 최익봉 총재는 “당시 군인들은 상부의 명을 받고 파견돼 질서회복의 임무를 수행했다”면서 “그들의 노고에 대한 정부 차원의 평가와 객관적 조사, 보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 대표와 관계자 200여명이 모여 이들을 규탄했다.
 

김준태 시인(사진 맨 왼쪽)과 광주 시민단체 원로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애독자]


이날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계엄군의 진실한 반성과 사죄 없이 용서와 화해는 없다고 선언했다. ‘5월 공법단체들의 대국민 공동선언’을 즉각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또 “5·18정신을 훼손하고 오월 영령을 두 번 죽인 두 단체는 광주시민들에게 사과하라. 특전사동지회는 역사 앞에 반성하고 실체적 증언을 통해 5·18 진상규명에 적극 나서라”고 요구했다.
 
광주전남추모연대 박봉주 공동대표는 집회에서 “폭도였던 광주 시민과 빨갱이 도시였던 광주가 오명을 벗는데 15년이 걸렸고 공동묘지에 묻힌 희생자들은 17년 만에 국립묘지에 안장됐다”면서 “43년이 지난 지금도 발표명령자가 가려지지 않고 진상규명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초 후보시절 5·18을 헌법전문에 넣겠다고 약속했으면서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는 역사교과서에서 ‘5·18’이 삭제됐다. 그들이 가해자요 발포명령자”라고 말했다.
 
이어 5·18 두 단체를 질책했다. “5·18은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만의 것이 아니며 대한민국 국민들의 것“이라면서 ”광주와 국민 여망을 져버린 두 단체는 광주시민과 국민들에게 사죄하라“고 요구했다.
 
5월어머니집 김형미 관장도 5·18 두 단체를 질책했다. “두 단체 회장들이 특전사 관련 단체장을 찾아가 그들을 용서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누구의 허락을 받은 것인가?”라고 묻고 “특전사 군인이 피해자라면 장차 광주를 가해자로 몰 것”이라고 일갈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애독자]


이어 등단한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광주본부 김정길 공동회장은 “참담하다. 광주가 역사에서 살아남을까, 내부에서 붕괴될까 걱정된다. 또 많은 이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친 우리 모두는 반성해야 한다. 새롭게 정비하고 새로운 광주항쟁을 시작하자”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비상대책회의’를 결성하고 다음 주부터 광주YMCA에서 매주 화요일 모임을 갖기로 했다.
 
단체별로 입장을 정리하고 광주공동체 행동방향을 결정하기로 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