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고금리에…은행권도 연체율 우려 확산

2023-02-13 15:59

지난해 고금리 기조 속 거시경제 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연체 리스크’가 은행권까지 퍼지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케이뱅크의 연체율이 1년 새 최대 0.3%포인트 가까이 오르고,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은 IBK기업은행도 반기 만에 연체율이 0.08%포인트 상승했다.

13일 각사의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IBK기업은행과 카카오뱅크 연체율은 각각 0.32%, 0.49%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각각 5bp(1bp=0.01%포인트), 13bp 높은 수치다. 케이뱅크의 경우 아직 4분기 연체율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말 0.41%던 연체율이 올해 들어 0.48%(1분기), 0.52%(2분기), 0.67%(3분기)로 급격하게 오르고 있다.

신한·KB국민·KEB하나·우리 등 주요 4대 시중은행도 작년 하반기 연체율이 꾸준히 상승했다. 신한은행은 작년 상반기 말 0.19%던 이자율이 연말에는 0.22%로 올랐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도 각각 0.13%에서 0.16%, 0.16%에서 0.20%, 0.18%에서 0.22%로 3~4bp 올랐다. 지난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이른바 ‘3고(高)’ 현상이 이어지면서 가계·기업의 대출상환능력이 약화한 게 연체율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문제는 연체율이 증가하면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려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신한은행은 2021년 9964억원이던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지난해 1조3057억원까지 대폭 늘렸다. KB국민은행도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3646억원에서 4484억원으로 23%가량 확대했다.

금융당국이 금융사의 수익과 직결되는 예대금리에 압력을 행사하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 규모가 계속해서 늘면 은행권의 당기순이익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최근 들어 금융당국은 금융사를 상대로 대손준비금 확대를 요구하면서 주주환원을 늘리려는 시중은행의 방침을 견제하기 시작했다. 

금융권에선 연체율 상승으로 부실 규모가 커지면, 그 위험 부담을 오롯이 은행이 짊어져야 한다는 점을 두고, 은행 경영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을 필두로 금융당국 수장들이 발언 수위를 높여가며 시중은행을 압박하고 있어 은행권은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도 금융그룹이 지난해 기록한 최대 실적을 두고 ‘돈 잔치’라는 표현을 쓰며 금융당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20~30% 수준의 고리로 돈을 빌려주는 것도 아닌데 (‘돈 잔치’라는 표현이) 당황스럽고 억울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