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여론 의식한 카카오 노조 "재택근무 반발로 조합원 증가? 사실 아냐"

2023-01-17 17:10
반복되는 분사·M&A로 인한 불안한 사내 환경
경영진 책임감 및 리더십 부재…소통 부재 등 신뢰 부족 지적
김범수 창업자와 공개 대화 자리도 요청

서승욱 카카오지회장이 17일 경기 분당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최은정 기자]

노동조합법상 '과반 노조'를 달성한 카카오 노조가 근무 제도 개편을 비롯한 불안한 근무 환경을 둘러싸고 회사와 갈등을 빚고 있다. 카카오 노조는 과반 노조 달성을 통해 단체교섭권 자격을 획득하고 근무 제도 안정화를 포함, 구성원들 사이에 지적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 회사와 적극적인 대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노조 가입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최근 근무 제도 변화로 인해서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미 충분한 복지를 누리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가 배부른 투정을 한다는 정치권의 비판과 일부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화섬노조 소속 서승욱 카카오지회장은 17일 경기 분당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노동 관련법상 과반 노조라는 기준이 여러 가지가 있다"면서 "그중에서 현재 노조법상 과반 달성은 일단 확실시됐지만, 근로기준법상 과반 달성 여부는 조금 더 확인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달 기준 카카오 공동체(계열사) 조합원 수는 4000명, 이 중 카카오 조합원 수는 1900여 명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카카오 본사 임직원 수는 3500명이다. 이에 따르면 본사 직원 절반 이상이 노조에 가입한 상태다. 과반 노조 달성 공식화만 남은 셈이다.

조합원 수가 전체 직원의 절반을 넘으면 사측에 단체교섭권을 행사할 수 있다. 카카오 공동체 노조 조합원 수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달까지 총 12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 지회장은 최근 조합원 수 증가 이유로 △반복되는 분사·인수합병(M&A)으로 인한 불안한 사내 환경 △경영진 책임감 및 리더십 부재 △소통 부재  신뢰 부족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재택근무제 폐지는 핵심 요인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는 "노조 가입률은 앞서 모빌리티 매각, 경영진 교체 등 이슈가 있을 때에도 올랐다. 오랜 기간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이라고 했다.
 

[사진=아주경제DB]

잦은 근무제 변경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서 지회장은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없이 1년 동안 근무제 방식뿐 아니라 방향성이 계속 바뀌었다"면서 "6개월 전만 해도 원격근무가 가능하다고 했는데 6개월 이후 오피스 중심이어야 한다더라. 특히 카카오온이 1월부터 적용됨에도 지난달 발표한 것에 대한 불만이 있다"고 덧붙였다.

비등기 임원 등 경영진의 선정 과정에 대한 문제도 제기했다. 서 지회장은 "비등기 이사 범위조차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공동체 C레벨 임원은 정규직 형태로 고용된 것으로 알고 있다. 카카오 같이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임원으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위치가 아닌, 정규직 고용 형태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지회는 사측에 근무제도 안정화를 위한 △구성원들의 직접 동의절차 보장 △조직단위의 효율적 결정 보장 △연구과제 진행 등을 요구했다.

서 지회장은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장과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과 공개적인 대화도 요청했다. 그는 "카카오 문화 자체가 방향성을 유지하려면 크루(카카오 임직원)들이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지 않겠나. 최근 김범수 센터장(브라이언)에 묻는 질문을 사내 게시판에 올려도 답변된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