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전문가 52.7%, "韓 경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
2022-11-13 12:00
국내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현 경제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대내외적인 어려움이 겹치면서 내년 경제성장률은 2.0% 이하에 물가상승률은 내년 1분기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 응답자 기준)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52.7%는 지금 우리 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지금이 ‘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이 어려운 상황은 아니다’라는 응답은 47.3%다.
최근 우리 경제가 어렵게 된 주된 원인을 두고 응답자 57.4%는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에너지 가격 같은 전 세계적인 경제・정치 리스크’라고 지목했다. 이어 ‘대외 의존적인 우리 경제・산업 구조(24.0%)’,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11.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9.4%는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을 2.0% 이하로 전망했다. 이어 ‘2.0% 초과~2.5% 이하’ 응답은 20.6%에 불과했다. 내년 성장률이 2.5%를 넘어설 것이라는 응답은 나오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87%로 집계됐다. 국내외 주요기관들의 전망치는 △한국은행 2.1% △KDI 1.8% △하나금융연구소 1.8% △IMF 2.0% △OECD 2.2%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의 절반 이상(53.9%)은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을 2024년으로 예상했다. 반면 2025년 이후라는 응답도 24.0%에 달해 응답자 77.9%가 회복 시점을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내년에 회복될 것이란 응답은 22.1%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의 47.1%는 최근의 높은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돼 내년 1분기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경총은 최근 러-우 사태 지속과 산유국의 원유 감산 결정, 달러화 강세가 물가 상승세 장기화의 주된 요인이라 분석했다.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는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지난해 4분기 3.5%, 올해 1분기 3.8%, 2분기 5.4%, 3분기 5.9%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44.1%가 지금 수준(현 3.0%)보다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지만,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은 전망치인 3.5% 수준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기준금리를 지금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도 32.9%로 적지 않은 비율이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나 가계・기업부담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 국가재정 운영기조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65.8%는 ‘최근 기업들의 자금경색 등 위기 대응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균형재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다음으로는 ‘긴축재정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20.8%,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어 재정지출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 비중이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 응답자 기준)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52.7%는 지금 우리 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지금이 ‘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이 어려운 상황은 아니다’라는 응답은 47.3%다.
응답자 79.4%는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을 2.0% 이하로 전망했다. 이어 ‘2.0% 초과~2.5% 이하’ 응답은 20.6%에 불과했다. 내년 성장률이 2.5%를 넘어설 것이라는 응답은 나오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87%로 집계됐다. 국내외 주요기관들의 전망치는 △한국은행 2.1% △KDI 1.8% △하나금융연구소 1.8% △IMF 2.0% △OECD 2.2%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44.1%가 지금 수준(현 3.0%)보다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지만,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은 전망치인 3.5% 수준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기준금리를 지금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도 32.9%로 적지 않은 비율이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나 가계・기업부담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 국가재정 운영기조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65.8%는 ‘최근 기업들의 자금경색 등 위기 대응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균형재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다음으로는 ‘긴축재정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20.8%,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어 재정지출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 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