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공매도 잔고 150조원 육박… 한은 빅스텝 가능성도 악재

2022-11-06 14:54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채권의 공매도 규모로 볼 수 있는 채권 대차거래 잔고가 15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채권 가격 하락을 전망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최종 기준금리 고점을 기존 전망보다 높이겠다고 예고함에 따라 채권 공매도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채권 대차거래 잔고는 143조9507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차거래는 계약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자산을 빌린 뒤 계약이 종료되면 같은 자산을 되돌려주는 거래다. 이때 빌린 자산을 매도한 후 계약 종료 시점에 되사서 갚으면 공매도가 된다. 공매도 거래를 하면 자산 가격이 하락한 만큼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대차거래 잔고가 전액 공매도 거래인 것은 아니다.

지난해 말 107조3823억원이던 대차거래 잔고는 꾸준히 증가하며 6월 말에는 137조3816억원으로 치솟았다.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8월 18일에는 123조8502억원으로 줄었으나 9월 초를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9월 2일에는 하루에만 9조5447억원어치의 대차거래가 체결되며 대차거래 잔고가 139조6783억원으로 급증했다.

대차거래 규모가 증가하면서 채권 가치도 빠르게 하락했다. 연초 1.855%였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4일 4.118%로 226bp(1bp=0.01%) 급등했다. 같은 기간 3년물 회사채 금리는 AA- 등급이 2.46%에서 5.591%로, BBB- 등급이 8.316%에서 11.438%로 치솟았다. 채권은 금리가 오르면 가격이 하락한다.

채권 대차거래 잔고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파월 연준 의장이 미국의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이전 예상보다 높아질 수 있다고 시사했기 때문이다. 금리가 인상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금리가 기존 채권보다 높기 때문에 기존 채권의 가격 조정이 발생한다. 실제 지난 10월 27일 4.283%였던 3년물 미국채 금리는 지난 3일 4.636%로 일주일 새 35bp 급상승했다.

국내 채권도 금리인상발 가격 하락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 연준이 4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75b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끌어올리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가 100bp에 달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으로서는 달러강세 대응과 물가 안정을 위해 빅스텝(기준금리 50bp 인상) 이상의 조치를 단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25bp 인상 가능성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50bp가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며 "50bp와 25bp 인상 의견이 절반씩 나오면서 한은 총재가 금리인상폭을 결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채권금리의 고점이 다가오고 있다며 채권시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경기 하강과 금융불안 시작으로 인해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긴축 강도가 강화된 8월 이후 국고 3년 및 10년의 일중 변동성은 10bp를 상회하고 있다. 이는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이라며 "실제 GDP(국내총생산)와 잠재 GDP의 차이인 GDP갭의 마이너스 전환 우려 확대 등을 고려하면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인식이 확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금리인하 기대는 하반기 금리 하락 기조로 이어지면서 1분기 말 주요 채권 금리의 고점을 형성할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채권 투자 심리 회복세 강화가 예상된다. 1분기 말부터 점진적 듀레이션 확대를 제시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