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위성통신 시대 연다...2026년 첫 저궤도 위성 발사 예타 신청

2022-10-18 17:39
지난해 9500억원 규모 사업 예타 탈락...기획안 조정해 재도전
우크라이나 사태로 저궤도 위성통신 활약 주목...2026년 첫 위성 발사 기대
최우혁 과기부 국장 "핵심기술 확보 위해 연구개발 적극 투자 계획"

6G 위성통신 개념도.[그래픽=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 예산 규모는 8년간 5700억원이며, 사업 추진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는 올해 안에 신청할 계획이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 기획(안)에 대해 공청회를 열었다. 사업안에 따르면 정부는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약 5700억원을 투입해 6G 위성통신 관련 통신 탑재체, 본체 시스템, 지상국, 단말국, 체계종합 5개 핵심 기술을 확보한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저궤도 위성통신은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운항선박 등 신산업 창출을 뒷받침하고, 재난 상황에도 신속히 대응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국내 기업이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타조사를 통과할 경우 이르면 오는 2026년 첫 번째 통신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 3GPP 등 국제 통신표준화 기구의 지상-위성 통합망 표준화 단계에 맞춰 발사를 추진한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6월 6G 위성통신 실증을 위한 관계부처 협력 방안을 발표하고, 2031년까지 저궤도 통신위성 14기를 발사해 서비스 실증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등과 자율운항선박, 도심항공교통 등을 검증하는 등 긴밀한 협력 계획도 발표했다. 다만, 같은해 저궤도 군집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에 대한 예타조사를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당시 신청한 사업 규모는 9500억원이다.

이번에 새로 수립한 기술개발사업 기획안은 관련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걸음마 단계인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기술 확보를 위해 우선순위를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주목받으면서 구체적인 사례 역시 등장했다. 이에 따라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도 본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