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장 IMF 이사 "韓, 제2의 외환위기 걱정 안 한다...고령화는 우려"
2022-10-14 12:00
허장 IMF 이사 인터뷰, "한국 외환보유고 충분한 수준"
"이민자 받고 남북문제 해결해 고령사회 해법 찾아야"
"이민자 받고 남북문제 해결해 고령사회 해법 찾아야"

허장 국제통화기금(IMF) 이사 [사진=기획재정부]
"IMF는 한국이 외환위기와 같은 대형 위기를 다시 맞을 것이라고 걱정하지 않습니다."
허장 국제통화기금(IMF) 이사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동행 취재기자단과 만나 '외환위기 재현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허 이사는 주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경제공사,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 등을 역임하고, 지난 2020년 11월부터 IMF 이사로 재직 중이다.
허장 국제통화기금(IMF) 이사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동행 취재기자단과 만나 '외환위기 재현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허 이사는 주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경제공사,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 등을 역임하고, 지난 2020년 11월부터 IMF 이사로 재직 중이다.
허 이사는 최근 에너지 가격 급등과 함께 지적되는 경상수지에 대해 "한국은 연간 경상수지 적자가 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1997년 말에도 경상수지 적자가 3~4% 나는 건 일도 아니었는데, 현재는 굉장히 건전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허 이사는 "국가신용도의 위험 수준을 보여주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으로 국가 부도 확률을 계산해도 0.9% 수준"이라며 "2008년에 국가 부도 확률이 11%까지 올라간 것과 다르니 너무 불안해 할 필요 없다"고 말했다.
다만 허 이사는 한국이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변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올해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17.5%를 차지한다. 통계청은 이 흐름대로라면 2025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20.6%를 차지하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IMF가 한국에 대해 위험하게 보는 부분도 딱히 없지만 굳이 본다면 노동시장 유연성, 가계부채, 부동산시장 정도"라며 "한국이 가장 노력해야 할 건 '고령화 문제'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한국 사회가 노령화되면 사회적으로 모든 것이 처진다. 근로문화도 엉망이 되고 루틴만 따라가는 등 생명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허 이사는 "외국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남북문제도 해결하는 등의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