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감] "청년디지털일자리 1년 이상 고용률 42% 그쳐"
2022-10-05 15:22
노웅래 의원 "정부사업이 단기알바로 악용"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부가 2년간 2조원을 투입한 청년디지털일자리 사업 참여자 10명 가운데 6명이 취업 1년 이내에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1년 청년디지털일자리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이 42.3%에 불과했다. 절반이 넘는 청년들이 1년도 안 돼 그만둔 것이다. 2년간 계속 근무한 청년도 29.5%에 그쳤다.
정부가 2020년 7963억원과 지난해 1조1200억원 등 2조원에 달하는 국가예산을 들였으나 실제론 단기 아르바이트 자리였던 셈이라고 노웅래 의원은 지적했다.
하지만 지원 기업 가운데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5인 미만 기업이 2만3429개(40%)에 달했다. 임시·일용 인력공급업체도 117곳이나 됐다.
고용부 관리 감독도 미흡했다. 전체 참여 기업 중 실제로 현장지도·점검을 받은 곳은 14%에 해당하는 8246곳뿐이었다. 관리·감독 대부분이 제보에 의존해 이뤄져서다.
노웅래 의원은 "2조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된 미래 디지털일꾼 양성 사업이 6개월짜리 단기 알바로 악용돼고 있다"고 지적하며 "고용부는 사업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게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