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주 총력전] 산업부 체코·폴란드 수주전 사활…민간 협력도 강화
2022-06-19 07:00
원전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를 이끌고 있는 이창양 장관은 취임 후 첫 해외 출장지로 수주전이 한창인 체코와 폴란드를 택했다. 정부 관련 부처와 발전 공기업, 민간 업체가 참여해 원전 수출을 지원하는 민·관 협의체도 운영에 들어갔다.
이창양 산업장관 체코·폴란드서 '원전 세일즈'
19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오는 27일 취임 후 첫 해외 출장에 나선다. 방문지는 체코와 폴란드다. 이 장관은 27일부터 29일까지 체코를 방문하고, 이어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는 폴란드를 찾아 각 국 산업·에너지 협력 관련 정부와 주요 인사를 면담한다.
두 나라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신규 원전 사업 수주전에 뛰어든 곳이다. 체코 정부는 남부 지역인 두코바니에 8조원을 들여 1200메가와트(㎿) 이하 가압경수로 원전 1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한수원을 비롯해 미국 원전기업인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전력공사(EDF)와 3파전을 벌이고 있다. 한수원은 오는 11월 입찰서를 낼 예정이다.
두코바니 사업을 따내면 체코가 추가로 검토 중인 원전 건설 수주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어 경쟁이 치열하다. 체코는 최대 3기를 추가로 지을 계획이다.
이 사업 역시 한수원이 수주를 추진 중이다. 한수원은 지난 4월 폴란드의 원전 건설 주무 부처인 기후환경부에 사업제안서를 제출하고 수주 활동에 들어갔다.
폴란드 정부가 우리나라와 미국, 프랑스에 원전 사업 제안을 요청해 체코 사업과 마찬가지로 3파전 양상이다. 지난해 11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은 제2차 한·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를 마친 뒤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와 단독회담을 하며 원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민관 '원전산업 경쟁력 TF' 본격 가동
'원전산업 경쟁력 태스크포스(TF)'도 가동에 들어갔다. 원전산업 경쟁력 TF는 원전 최강국 도약이라는 새 정부 정책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와 발전 공기업, 금융기관, 기업 등으로 꾸려진 조직이다. 산업부가 구성을 주도했다. 앞서 산업부는 원전기업 간담회와 어려움 실태조사 등을 벌여 기업들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파악하면서 TF 준비를 해왔다.TF에 참여하는 정부 부처는 산업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다. 한수원과 산업은행, IBK,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도 함께한다. 산업계에는 두산에너빌리티와 우리기술, 일신밸브 등이 TF에 합류했다.
TF는 지난 1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전력기반센터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를 이끈 박일준 산업부 제2차관은 "에너지 안보와 안정적 전력수급 측면에서 국내외적으로 원전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면서 "원전 수출과 일자리 창출 등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원전을 적극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전 생태계 건전성을 회복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함께 관계 기관, 원전기업들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TF는 앞으로 원전기업 금융 해소와 원전 업계 일감 확보 방안 등을 관계 부처·기관과 협력해 마련하며 원전 생태계 활력을 높일 방안을 논의·실행할 예정이다. 산하에 실무추진단을 상시 가동해 업계 어려움을 발굴하고, 사전 실무 조율 등을 추진해 지원 속도도 높인다.
尹 대통령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원전 수출은 윤석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백지화를 선언한 윤석열 대통령은 원전 사업 경쟁력 강화와 수출에 힘을 쏟고 있다.지난달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110가지'를 보면 '탈원전 정책 폐기·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가 세 번째 과제로 담겼다.
특히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목표로 가칭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새로 만들기로 했다. 한·미 원전 동맹 강화와 독자 소형모듈원자로(SMR) 노형 계획도 추진키로 했다. 우리나라의 해외 대형 원전 사업 수주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원전 건설 사업 이후 중단됐다.
정부는 지난 16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경방)'에서도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목표를 재차 언급했다.
아울러 주요 예비품을 미리 발주하는 방식으로 일감을 조기 창출해 국내 원전산업 생태계 회복을 지원하고, SMR과 4세대 원자로 등 미래 유망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