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GDP 대비 가계부채 세계 1위…한은 기준금리 인상 고삐 죌 듯
2022-06-06 14:12
IIF 보고서,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04.3%…36개국 중 유일하게 100% 넘어
기준금리 인상·가계부채 유지 시 소비 위축 부담도
기준금리 인상·가계부채 유지 시 소비 위축 부담도
한국의 가계부채는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세계 36개 주요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위로 나타났다. 기업부채 역시 세계 2위였다. 반면 GDP 대비 정부 부문 부채 비율은 조사 국가 중 중위권을 기록했다. 가계와 민간의 부채 부담이 향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6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4.3%로 36개국 중 유일하게 100%를 넘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은 것은 국내총생산보다 가계가 부담하는 빚이 더 크다는 뜻이다.
한국에 이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레바논(97.8%), 홍콩(95.3%), 태국(89.7%), 영국(83.9%), 미국(76.1%), 말레이시아(72.8%), 중국(62.1%), 일본(59.7%), 유로 지역(59.6%)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보다도 하락 폭이 작았다. 지난해 1분기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05%로 1년 새 0.7%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영국(7.2%포인트), 미국(4.7%포인트), 일본(4.6%포인트), 유로 지역(2.9%포인트) 등 주요 국가 하락 폭은 우리보다 컸다.
이 밖에 홍콩(91.8→95.3%), 브라질(36.4→37.6%·), 중국(61.5→62.1%), 가나(2.5→2.8%), 이집트(8.8→9.1%), 나이지리아(7.1→7.3%)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했지만 이들 대부분은 기존에 가계부채가 적은 국가였다.
한국은 가계부채와 더불어 기업부채 비율도 세계 최상위권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한국의 비금융기업 GDP 대비 부채 비율은 현재 116.8%로 홍콩(281.6%), 레바논(223.6%), 싱가포르(163.7%), 중국(156.6%), 베트남(140.2%), 일본(118.7%)에 이어 일곱 번째였다. 특히 한국 기업의 부채 비율 증가 속도는 세계 2위를 기록했다. 1년 새 한국 기업의 부채 비율은 5.5%포인트 상승하면서 베트남(129.3→140.2%·10.9%포인트)에 이어 2위였다.
반면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4.6%)은 25위, 1년간 정부 부채 비율 증가 속도(45.8→44.6%·-1.2%포인트)는 15위에 불과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48.7%)이었고, 부채 증가 속도는 레바논(15.6%포인트), 태국(6.3%포인트) 순으로 높았다.
일각에선 한국의 높은 민간(가계+기업) 부채 부담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수위를 높이는 데 작용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4월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금리를 통해서 가계부채 문제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수요를 줄여 가계부채를 줄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도 "경제 규모를 웃도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금리까지 계속 상승하면 연체율 상승에 따른 금융시장 붕괴와 소비 위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4.3%로 36개국 중 유일하게 100%를 넘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은 것은 국내총생산보다 가계가 부담하는 빚이 더 크다는 뜻이다.
한국에 이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레바논(97.8%), 홍콩(95.3%), 태국(89.7%), 영국(83.9%), 미국(76.1%), 말레이시아(72.8%), 중국(62.1%), 일본(59.7%), 유로 지역(59.6%)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보다도 하락 폭이 작았다. 지난해 1분기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05%로 1년 새 0.7%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영국(7.2%포인트), 미국(4.7%포인트), 일본(4.6%포인트), 유로 지역(2.9%포인트) 등 주요 국가 하락 폭은 우리보다 컸다.
이 밖에 홍콩(91.8→95.3%), 브라질(36.4→37.6%·), 중국(61.5→62.1%), 가나(2.5→2.8%), 이집트(8.8→9.1%), 나이지리아(7.1→7.3%)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했지만 이들 대부분은 기존에 가계부채가 적은 국가였다.
한국은 가계부채와 더불어 기업부채 비율도 세계 최상위권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한국의 비금융기업 GDP 대비 부채 비율은 현재 116.8%로 홍콩(281.6%), 레바논(223.6%), 싱가포르(163.7%), 중국(156.6%), 베트남(140.2%), 일본(118.7%)에 이어 일곱 번째였다. 특히 한국 기업의 부채 비율 증가 속도는 세계 2위를 기록했다. 1년 새 한국 기업의 부채 비율은 5.5%포인트 상승하면서 베트남(129.3→140.2%·10.9%포인트)에 이어 2위였다.
반면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4.6%)은 25위, 1년간 정부 부채 비율 증가 속도(45.8→44.6%·-1.2%포인트)는 15위에 불과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48.7%)이었고, 부채 증가 속도는 레바논(15.6%포인트), 태국(6.3%포인트) 순으로 높았다.
일각에선 한국의 높은 민간(가계+기업) 부채 부담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수위를 높이는 데 작용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4월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금리를 통해서 가계부채 문제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수요를 줄여 가계부채를 줄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도 "경제 규모를 웃도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금리까지 계속 상승하면 연체율 상승에 따른 금융시장 붕괴와 소비 위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