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세계 SMR 선도할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에 박차

2022-02-11 08:27
EU, 원자력을 친환경에너지로 분류한 그린 택소노미 확정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감도. [사진=경상북도]

지난 2일 EU 집행위는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원전에 대한 찬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원전 투자를 친환경,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녹색금융 분류체계(그린 택소노미)로 분류하는 기준 안을 확정했다고 경북도는 11일 밝혔다.
 
이에 대해 과학기술 전문가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이행과 친환경에너지 전환 추진 과정에 원자력의 역할을 인정한 당연한 결과로 이해하고 있다.
 
또 이런 영향으로 얼마 전 정부에서 발표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원자력 미포함)가 수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미국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을 무공해 전원으로 발표했으며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도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을 발표한 것은 EU 그린 택소노미와 맥락을 같이한다.
 
이 같은 원자력에 대한 재평가는 발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제로에 가까워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도 보완할 수 있다는 원전의 장점에 기인한다.
 
경북도는 이번 EU 그린 택소노미 발표로 지난해 7월 착공식을 가진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향후 미래 원자력 먹거리인 ‘글로벌 초기 SMR 원전시장 선점’이라는 계획은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됐다.
 
도는 현재 국비 2700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6540억원을 들여 경주 감포읍 일원에 국내 SMR 연구 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 공사가 오는 2025년 완공 목표로 한창 진행 중이다.
 
경북도는 연구 단지를 바탕으로 SMR 제조, 소부장 기업 집적을 위한 SMR 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장래 지역에 SMR 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국내 대학 뿐만 아니라 IAEA 연계 국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조성과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미래관 설립 등 각종 연계 사업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수소생산에 적합한 SMR인 고온가스로(HTGR)를 활용해 미래에너지라 불리는 그린수소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 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고 `원자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실증단지` 조성을 통해 수소 저장·운송·활용 등 산업화 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현재 추진 중인 타당성 연구 용역을 올해 마무리하고 산업부와 과기부 등 정부에 국비 반영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과거 원자력은 해외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0%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기저 전력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향후 국가 에너지 주권 확보와 탄소중립 실현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 SMR을 중심으로 산업과 일자리를 연계해 환동해 지역을 SMR 글로벌 거점 지역으로 육성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