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정부 참여 'K반도체 어벤저스' 떴다...美 압박도 대응
2021-09-28 19:26
반도체 업계·학계·연구기관 대표 30명으로 구성
시시각각 발생하는 이슈에 긴밀하게 대응 전망
업계 “반도체 지원 법·제도화 시급”
시시각각 발생하는 이슈에 긴밀하게 대응 전망
업계 “반도체 지원 법·제도화 시급”
정부와 기업 간에 반도체 이슈와 관련해 연대·협력 등 수시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생겼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업계와 산업통상자원부, 학계, 연구계가 참여하는 ‘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이하 반도체 협의체)’가 생긴 것.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하는 사실상 '최상위' 논의기구다.
28일 출범식을 연 협의체는 삼성과 SK하이닉스 외에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패키징 기업 외에 업계 대표 및 반도체 분야 학계·연구기관 대표 등 총 30명으로 꾸려진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슈가 있을 때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반도체 투자 점검회의는 상시 접수창구로 운영해 필요할 때마다 개최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산업계가 처한 험난한 상황을 증명하듯, 이날 협의체 출범식에서도 국내 반도체 업계의 현안과 관련한 대화가 장시간 이어졌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법·제도화를 비롯해 탄소중립, 인력양성 등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요구했다. 반도체산업협회장 자격으로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반도체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그는 “미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지원, 파운드리 육성, 각종 인센티브 지급 법안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유럽·일본 등 주요국들도 법안에 준하는 정책들을 발표했다”며 “한국도 조속한 법 제정과 실효성 있는 시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와 더불어 반도체 산업에서의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제로) 실현, 반도체 인력의 양성·수급 등과 관련된 업계 의견이 정부에 전달됐다.
산·학·연과 정부까지 포함된 협의체는 앞서 언급된 기존 이슈 외에도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반도체 관련 이슈에 긴밀하게 소통하고 대응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최근 미국 백악관과 상무부가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재고·주문·판매 등과 관련된 내부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라고 요청한 것을 두고도 앞으로 긴밀하게 소통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회의에서는 내부 정보 제출과 관련한 내용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고객과의 계약 위반이나 회사의 내부정보 유출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기업들이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 전에는 기업들이 정부에 요청할 사안도, 한국 정부가 개입할 방법도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글로벌 반도체 회사는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관보에 실린 지 얼마 되지 않아 내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말씀드릴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27일 주한미국대사관을 통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내부 정보와 관련된 설문조사 문항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 문항 중 기업의 영업기밀에 해당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이 미국 정부에 제출하는 자료의 안전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그게 보장되지 않으면 시장이 혼란스러워지고, 기업들도 법적인 위험성이 뒤따르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자료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우선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8일 출범식을 연 협의체는 삼성과 SK하이닉스 외에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패키징 기업 외에 업계 대표 및 반도체 분야 학계·연구기관 대표 등 총 30명으로 꾸려진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슈가 있을 때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반도체 투자 점검회의는 상시 접수창구로 운영해 필요할 때마다 개최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산업계가 처한 험난한 상황을 증명하듯, 이날 협의체 출범식에서도 국내 반도체 업계의 현안과 관련한 대화가 장시간 이어졌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법·제도화를 비롯해 탄소중립, 인력양성 등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요구했다. 반도체산업협회장 자격으로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반도체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그는 “미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지원, 파운드리 육성, 각종 인센티브 지급 법안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유럽·일본 등 주요국들도 법안에 준하는 정책들을 발표했다”며 “한국도 조속한 법 제정과 실효성 있는 시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와 더불어 반도체 산업에서의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제로) 실현, 반도체 인력의 양성·수급 등과 관련된 업계 의견이 정부에 전달됐다.
산·학·연과 정부까지 포함된 협의체는 앞서 언급된 기존 이슈 외에도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반도체 관련 이슈에 긴밀하게 소통하고 대응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최근 미국 백악관과 상무부가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재고·주문·판매 등과 관련된 내부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라고 요청한 것을 두고도 앞으로 긴밀하게 소통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회의에서는 내부 정보 제출과 관련한 내용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고객과의 계약 위반이나 회사의 내부정보 유출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기업들이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 전에는 기업들이 정부에 요청할 사안도, 한국 정부가 개입할 방법도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글로벌 반도체 회사는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관보에 실린 지 얼마 되지 않아 내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말씀드릴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27일 주한미국대사관을 통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내부 정보와 관련된 설문조사 문항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 문항 중 기업의 영업기밀에 해당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이 미국 정부에 제출하는 자료의 안전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그게 보장되지 않으면 시장이 혼란스러워지고, 기업들도 법적인 위험성이 뒤따르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자료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우선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