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민간 경제계 "코로나19 여전…경제회복 낙관 섣불러"
2021-07-04 13:47
전경련, 코로나 2년차 전망 조사 결과…"성장률 6%보다 낮을 듯"
글로벌 민간 경제계는 올해 코로나19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경제 회복이 지연되는 등 세계 경제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세계 경제 결정적 순간: 코로나 2년차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간 경제계가 세계 경제를 국제기구 예측보다 훨씬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전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지난 5~6월에 걸쳐 실시됐다.
세계 경제 회복 양상과 관련해 대다수인 84.1%는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재발이 올해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47.4%는 '코로나19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하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 회복이 늦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 52.4%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다.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에 달했다. 이는 백신 접종률에 따라 국가별 경제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민간 경제계는 코로나19 이후 자국중심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 국가의 47.7%는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계속해서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다. 42.8%는 개선될 것으로, 9.5% 현상이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미중 경제대립도 더욱 첨예해질 것이라는 답변이 90.5%를 차지했다. 응답 국가의 47.6%가 첨단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전통제조업의 공급사슬은 중국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세계 경제가 양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42.9%는 전방위적인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 심화를 예측했다.
코로나19는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를 준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57.1%로 과반을 넘었다.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자국의 지원책에 대해서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80.0%로 가장 많았다. 세계경제단체들은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생존 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었다. 정부의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8.2%가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 온 기업들의 도산'을 1순위로 꼽았다. △막대한 유동성 공급 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와 부작용(17.7%) △고용지원 제도 종료 이후 실업 전면화(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으로, 올해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은 아직 조심스럽다"며 "경제=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코로나 정부지원 종료 후 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는 점을 보면 실물경제 현장은 예상보다 심각할 수 있다"며 "기업 생존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덧붙였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세계 경제 결정적 순간: 코로나 2년차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간 경제계가 세계 경제를 국제기구 예측보다 훨씬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전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지난 5~6월에 걸쳐 실시됐다.
세계 경제 회복 양상과 관련해 대다수인 84.1%는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재발이 올해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47.4%는 '코로나19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하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 회복이 늦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 52.4%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다.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에 달했다. 이는 백신 접종률에 따라 국가별 경제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민간 경제계는 코로나19 이후 자국중심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 국가의 47.7%는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계속해서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다. 42.8%는 개선될 것으로, 9.5% 현상이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미중 경제대립도 더욱 첨예해질 것이라는 답변이 90.5%를 차지했다. 응답 국가의 47.6%가 첨단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전통제조업의 공급사슬은 중국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세계 경제가 양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42.9%는 전방위적인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 심화를 예측했다.
코로나19는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를 준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57.1%로 과반을 넘었다.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자국의 지원책에 대해서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80.0%로 가장 많았다. 세계경제단체들은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생존 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었다. 정부의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8.2%가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 온 기업들의 도산'을 1순위로 꼽았다. △막대한 유동성 공급 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와 부작용(17.7%) △고용지원 제도 종료 이후 실업 전면화(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으로, 올해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은 아직 조심스럽다"며 "경제=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코로나 정부지원 종료 후 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는 점을 보면 실물경제 현장은 예상보다 심각할 수 있다"며 "기업 생존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