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금감원 참여 요구에 금융권 ‘혼란’
2021-05-18 14:43
금감원, 기후 리스크 포럼 설립…“ESG와 달라”
가이드라인 無…'한국형 지침서' 연말쯤 나올 듯
업계 “당국 지침 주시…전담 조직구성 미지수”
가이드라인 無…'한국형 지침서' 연말쯤 나올 듯
업계 “당국 지침 주시…전담 조직구성 미지수”
[데일리동방] 금융당국이 이상 기후에 대응하는 전세계적인 흐름에 맞춰 최근 ‘기후 리스크 포럼’을 설립하고, 국내 금융회사들의 선제적 참여를 요구하고 나섰다. 금융권에서는 현재 금융당국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없이 일방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요구한 ‘기후 리스크’가 기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가 불문명해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금융권 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주도로 이달 13일 열린 ‘기후 리스크 포럼’ 첫 회의에는 은행연합회를 포함한 업종별 협회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업종의 대형사가 공동 참여했다.
이날 금감원은 전문 기관들의 연구 결과를 포럼의 설립 배경으로 제시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가뭄, 홍수, 산불 등의 위험(리스크) 요소가 금융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방침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향후 포럼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이번 포럼의 설립 취지가 모호하고, 심지어 포럼 설립을 주도한 금감원 조차 포럼 운영 방향성에 관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금감원은 환경 문제에 키를 쥔 중앙 부처인 환경부와의 조율해야 할 부분이 산적해 ‘뜬구름 잡기’식의 섣부른 정책이 업계의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포럼에 참석한 국내 28개 금융사들 사이에서도 뒷말도 무성하다. 금감원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알맹이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다. ESG 열풍에 따라 여신 심사, 탈석탄금융선언 등 관련 프로세스가 이미 진행 중인데, 금융당국이 나서서 개념 정립조차 되지 않은 또 다른 기후 리스크에 대응하라는 요구의 속내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ESG의 ‘E’는 환경 보호에 무게를 두고, 이번 기후 리스크 포럼은 위험 요소에 대응하는 것이라 결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환경에 대한 논의가 될 것인데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당국 역시 방향을 잡아주지 못해 태스크포스(TF) 구성 등 별다른 준비를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사별로 ESG부서와 리스크관리부서 등이 운영 중인데 향후 별도의 조직을 꾸려야 하는지는 미지수”라며 “구심점 역할을 할 당국 지침이 우선 나와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당국은 이런 사정들을 고려해 금융권에 배포할 한국형 지침서의 완성 시기를 연말쯤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럽권 가이드라인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 미국도 올해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금융권 기후 리스크 대응에 나섰다”며 “강제적인 규제는 아니어도 지침서 형태로는 올 연말 쯤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주도로 이달 13일 열린 ‘기후 리스크 포럼’ 첫 회의에는 은행연합회를 포함한 업종별 협회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업종의 대형사가 공동 참여했다.
이날 금감원은 전문 기관들의 연구 결과를 포럼의 설립 배경으로 제시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가뭄, 홍수, 산불 등의 위험(리스크) 요소가 금융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방침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향후 포럼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이번 포럼의 설립 취지가 모호하고, 심지어 포럼 설립을 주도한 금감원 조차 포럼 운영 방향성에 관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금감원은 환경 문제에 키를 쥔 중앙 부처인 환경부와의 조율해야 할 부분이 산적해 ‘뜬구름 잡기’식의 섣부른 정책이 업계의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포럼에 참석한 국내 28개 금융사들 사이에서도 뒷말도 무성하다. 금감원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알맹이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다. ESG 열풍에 따라 여신 심사, 탈석탄금융선언 등 관련 프로세스가 이미 진행 중인데, 금융당국이 나서서 개념 정립조차 되지 않은 또 다른 기후 리스크에 대응하라는 요구의 속내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ESG의 ‘E’는 환경 보호에 무게를 두고, 이번 기후 리스크 포럼은 위험 요소에 대응하는 것이라 결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환경에 대한 논의가 될 것인데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당국 역시 방향을 잡아주지 못해 태스크포스(TF) 구성 등 별다른 준비를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사별로 ESG부서와 리스크관리부서 등이 운영 중인데 향후 별도의 조직을 꾸려야 하는지는 미지수”라며 “구심점 역할을 할 당국 지침이 우선 나와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당국은 이런 사정들을 고려해 금융권에 배포할 한국형 지침서의 완성 시기를 연말쯤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럽권 가이드라인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 미국도 올해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금융권 기후 리스크 대응에 나섰다”며 “강제적인 규제는 아니어도 지침서 형태로는 올 연말 쯤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