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하 칼럼] 저금리에 올라탄 대한빚국
2021-04-06 17:00
한국은행 발표에 의하면, 2020년 말 가계부채는 1726조1000억원, 기업부채는 2153조5000억원이다. 2020년의 경상GDP가 1924조5000억원임을 감안하면,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89.7%이고 기업부채비율은 111.9%로, 이를 합하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의 2배를 넘는다. 여기에 GDP 대비 44.0%에 이르는 정부부채 846조9000억원을 합하면, 가계·기업·정부 부채의 총계는 4726조5000억원으로, 이런 추세라면 올해 내 5000조원을 돌파할 것이 예상된다.
GDP의 2.5배에 이르는 부채의 총규모도 문제이지만 증가속도가 더 큰 문제이다. 가계부채는 전년 대비 7.9%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의 빠른 증가와 주식투자수요 확대 등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이른바 ‘빚투’가 가계부채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기업부채는 전년 대비 10.1% 증가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업의 자금수요가 증가하고, 정부·금융기관에 의한 금융지원 증가가 주요인이다. 정부채무는 2019년 723조2000억원이었으나 확대재정과 코로나 추경 등으로 123조7000억원이 더 늘어났다.
버블 가능성이 농후한 자산시장에서 최대 불안요인은 이자율 상승이다. 미국발 이자율 상승이 국내 이자율도 높이고 있는 등 상승 기조가 강해지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1.5% 상승한 3월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그 자체로는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인플레이션 불안심리를 부채질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 기대 등으로 국제 유가도 들썩거리고 있다. 이자율이 높아지면서 자산시장의 변동성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지역에서 전세가격 하락과 아파트 가격 하락 조짐이 보이고 있다. 전세가격 하락은 전세에 기초한 갭투자자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종합주가지수는 올해 1월 3266 선까지 상승했다가, 이후 등락을 반복하여 한때 3000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저금리에 기반한 유동성 장세가 출렁거리고 있는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의 급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일부 투자자를 중심으로 투기적 성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실물경제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금융장세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 저금리에 편승한 경제주체들의 부채증가는 이자율 상승으로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불안이 우리나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글로벌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은 더욱 배증될 수 있다. 최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강력한 뉴딜정책이 세계 경제 회복의 버팀목이 될 수 있겠지만, 이자율 상승을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김용하 필자 주요 이력
△성균관대 경제학 박사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 △전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 △전 한국재정정책학회 회장 △현 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