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평규 칼럼] 중국 빅데이터 산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1-04-02 06:00
中빅데이터 대국…국가급 빅데이터 종합시범구 속속 건설
中, 美과 달리 한국과 빅데이터 협력 공간 많아
中, 美과 달리 한국과 빅데이터 협력 공간 많아
빅데이터 산업은 현재는 물론 미래의 모든 산업 영역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플랫폼 산업의 핵심은 빅데이터다. 빅데이터가 없으면 플랫폼 사업은 불가능하다. 데이터는 양이 많아야 정확한 통계가 나오고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중국은 인구도 많고, 컴퓨터와 모바일을 사용하는 인구도 10억명이 넘는 등 데이터를 생산하고 축적하고 활용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가진 나라다.
빅데이터 중요성을 오래 전부터 인식한 중국 정부는 전국의거점지역에 전략적으로 국가급(級) 빅데이터 종합시범단지 만들어 미래를 대비하고 있다.
베이징, 톈진, 허베이 중심의 징진지(京津冀) 수도권 지역은 국가 및 글로벌 빅데이터 산업의 혁신 센터다. 광저우·선전을 중심으로 하는 주장삼각주(珠三角)지역은 전자정보 산업의 우위를 활용해 국가 슈퍼컴퓨팅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집중하고 있다. 상하이와 항저우를 중심으로 하는 창장삼각주(长三角)지역은 스마트시티와 공공관리 빅데이터의 응용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구이저우와 중칭의 서남 지역은 생태, 에너지 우위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박람회 유치와 세계 최초 빅데이터 거래소 설립과 운영을 맡고 있다.
중국 발전 전략에 따라 2025년이면 중국의 빅데이터 총량이 전 세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랫폼 사업은 데이터를 독점하므로 독과점 사업으로 분류된다. 개인이 부지불식간에 제공한 데이터를 기업이 독점하거나 사유화 할 수 있는 것인가? 세계적인 추세는 정부가 나서서 빅데이터 사유화를 제한하고, 공공재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하다. 사실 빅데이터는 한 나라의 주요한 자원 이기도 하지만, 인류의 공공재이기도 하다.
중국이 빅데이터 사업에 강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컴퓨터와 모바일을 사용하는 인구가 많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특성상 정부의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 정책에 대해서 개인들이 사생활 보호 요구를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사업은 인구가 많고 컴퓨터와 모바일 사용자가 많은, 사회주의 체제를 가진 나라가 강할 수밖에 없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는 개인의 사생활 보호, 기업의 자율성을 중시하는만큼, 법과 제도, 그리고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만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가능하다. 서방국가들이 중국에 비해서 빅데이터 산업이 뒤처지는 이유다.
빅데이터는 과학 이론의 돌파구로 기술 혁명을 선도하는 영역으로 이미 들어와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발굴, 머신러닝(기계학습), 인공지능(AI) 등 관련 기술이 데이터 산업의 많은 알고리즘과 기초이론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를 활용하기에 적합한 산업은 자동차 자율주행, 인공지능, 헬스케어, 비대면 구매, 소액 금융, 게임, 데이터센터 사업 등이다.
중국에서 빅데이터 응용의 성공사례로 의료·헬스 분야를 들 수 있다.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CT영상판독, 증상 분석, 질병 식별, 의사 보조, 의료 연구자료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원격진료분야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분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이 다량의 빅데이터를 이용해 선두주자로 나가는 반면,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우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에서 중국에 뒤처지기 시작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우리는 대(對)중국 핵심 전략 분야를 정해 민·관이 힘을 합해 집중적으로 투자 해야 한다.
우리의 옆에 중국 빅데이터가 쌓여 있다는 것은, 그걸 잘 활용하면 우리의 미래산업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중국은 미국에게 빅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오픈 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반면, 우리와는 상호 협력할 공간을 많이 가지고 있어, 빅데이터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창구나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중국도 빅데이터 국제협력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는만큼, 한국은 중국과 빅데이터 협력을 할 수 있는 실질적 능력과 조건을 갖춘 나라다.
빅데이터 산업의 국제협력에서 국가나 정부가 적극 나서서 빅데이터의 공유나 거래, 협력사업을 연결하는 교섭 창구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특히, 중국은 정부의 입김이 산업에 강하게 작용하는 나라다. 관련 기관이나 정부가 기업과 공동으로 참여하면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중국의 빅데이터 산업의 부상에 주목하고 대비책을 세워야 할 때다.
(조평규 중국연달그룹 전 수석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