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박찬구 회장, 금호석화 경영권 분쟁 승기 잡았다···10년 경영성과로 국민연금 표심 얻어
2021-03-23 22:36
금호석유화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영권 분쟁은 오는 26일 개최될 주주총회에서 일단 결판이 난다. 주주총회에서 가장 큰 쟁점은 박찬구 회장과 박철완 상무, 숙질 중 어느 쪽이 경영자로서 훌륭한지 주주들의 선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주총회가 코앞까지 다가온 현재 유리한 쪽은 숙부인 박 회장으로 분석된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23일 회의를 열고 사내이사 안건을 제외하고 박 상무가 제안한 모든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지기로 결정했다.
반대로 국민연금은 박 회장 측이 제안한 안건에 대해서는 전부 찬성키로 했다. 다만 사내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서는 박 회장과 박 상무 측이 제안한 두 안건에 모두 찬성표를 던지기로 하면서 사실상 중립을 지켰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금호석유화학 3개 노조도 박 회장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재계에서는 박 회장이 경영자로서 상당한 성과를 내왔던 덕에 국민연금 등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평가다. 박 회장이 10여년 전 흔들리던 금호석유화학을 회생시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시킨 실적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 2010년 금호아시아나그룹 전체가 흔들린 탓에 법정관리 직전까지 몰렸던 금호석유화학에 분리 경영이라는 처방을 내린 것이 박 회장이다. 그는 2010년 3월 금호석유화학 회장직에 오른 이후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단계적으로 개선해왔다.
박 회장이 취임하기 직전인 2009년 말 기준 6조6656억원에 달하던 차입금 규모는 1년 만에 2조4890억원으로 4조원 이상 줄었다. 박 회장이 자산 매각을 포함한 대대적인 재무개선안을 밀어붙인 결과다. 그 이후로도 전체 차입금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 2017년에는 2조원 이하, 지난해에는 1조원 이하로 낮아졌다.
주주총회가 코앞까지 다가온 현재 유리한 쪽은 숙부인 박 회장으로 분석된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23일 회의를 열고 사내이사 안건을 제외하고 박 상무가 제안한 모든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지기로 결정했다.
반대로 국민연금은 박 회장 측이 제안한 안건에 대해서는 전부 찬성키로 했다. 다만 사내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서는 박 회장과 박 상무 측이 제안한 두 안건에 모두 찬성표를 던지기로 하면서 사실상 중립을 지켰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금호석유화학 3개 노조도 박 회장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재계에서는 박 회장이 경영자로서 상당한 성과를 내왔던 덕에 국민연금 등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평가다. 박 회장이 10여년 전 흔들리던 금호석유화학을 회생시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시킨 실적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 2010년 금호아시아나그룹 전체가 흔들린 탓에 법정관리 직전까지 몰렸던 금호석유화학에 분리 경영이라는 처방을 내린 것이 박 회장이다. 그는 2010년 3월 금호석유화학 회장직에 오른 이후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단계적으로 개선해왔다.
박 회장이 취임하기 직전인 2009년 말 기준 6조6656억원에 달하던 차입금 규모는 1년 만에 2조4890억원으로 4조원 이상 줄었다. 박 회장이 자산 매각을 포함한 대대적인 재무개선안을 밀어붙인 결과다. 그 이후로도 전체 차입금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 2017년에는 2조원 이하, 지난해에는 1조원 이하로 낮아졌다.

[사진=금호석유화학 제공]
2009년 말 72.8%를 기록했던 차입금의존도는 2010년 60.4%, 2011년 48.8%로 개선된 이후 2019년부터는 30% 이하로 개선됐다. 부채비율 역시 1256.3%에서 지난해 59.6%로 1196.7%포인트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2009년 1조원 순손실에서 2010년 3460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5830억원으로 사상 최고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박 회장이 경영을 맡은 이후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을 거듭한 결과다. 지난 2012년 20% 정도였던 고부가 제품 비중이 지난해 말 50%를 넘어서는 수준까지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의료·헬스케어 소재로 주목받은 NB라텍스는 선제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금호석유화학이 글로벌 1위의 독보적인 생산능력을 갖추는 데 성공했다.
박 회장은 2009년까지 주력 상품이던 타이어 원료인 합성고무(SBR)의 설비를 전환해 NB라텍스 생산 설비를 차츰 늘려왔다. 박 회장의 선견지명 덕에 금호석유화학이 코로나19 상황에서 큰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재계 관계자는 "2010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와해된 이후 금호가 오너 경영자 중에서 박 회장만이 회사를 개선·발전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반면 박 상무는 아직 성과로 내세울 만한 것이 없어 주주들에게 경영자로서 인정받기는 이른 것 같다"고 말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사진 왼쪽)과 박철완 금호석유화학 상무. [사진=금호석유화학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