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시위, 내전으로 발전하나...'무장반군 연대투쟁' 발언 나와

2021-03-16 11:43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로 시작한 시민 불복종 운동이 '내전(civil war)'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군부가 시민들에 대한 폭력 진압을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자, 민주진영을 계승한 임시 문민정부에서 이와 같은 단어를 처음으로 언급했다.

16일(현지시간) 미얀마의 사사 국제연합(UN) 특사는 영국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얀마 군부는 권력을 내놓고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회복시켜야 한다"면서 "(국제사회가) 유혈사태가 이어지도록 놔둔다면, 미얀마 국민들이 스스로를 방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현실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사 특사는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상황에서 임시 문민정부를 자처한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가 임명한 인사다.
 

15일(현지시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시민들이 반군부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CRPH는 지난해 11월 미얀마 총선에서 승리한 집권 '민주주의 민족동맹(NLD)' 소속 의원들이 기존의 합법적인 문민정권을 계승하고 군사정권의 정당성을 부정하며 결성한 단체로 현재 NLD 등 문민정부 측의 대외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날 사사 특사는 "가능한 한 빨리 국제적인 연합세력을 형성하지 못한다면, 지금까지 봐왔던 것 중 가장 큰 규모의 내전이 일어날 수도 있다"면서 군부 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리비아의 독재자 무함마르 알 가다피나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또는 알카에다 지도자였던 오사마 빈 라덴처럼 체포되거나 죽임을 당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그는 이어 "우리(미얀마)는 더 이상 말을 원하지 않는다. 행동이 필요하다"면서 "군부를 겨냥해 외교·경제·정치적으로 조직적이고 더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과 중국, 인도, 영국, 그리고 동남아시아 이웃국들이 미얀마 군부에 대한 압박을 장성들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데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UN 인권사무소는 지난달 1일 군부의 쿠데타 이후 군경의 총격 등 폭력으로 살해된 시민은 최소 138명에 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는 여성과 청소년, 아이를 포함한 숫자이며 불복종 시민운동은 쿠데타 다음 날인 2월 2일부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유혈사태에 대해 UN 인권사무소는 국제사회의 개입을 촉구하고 있지만, UN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관련 결의는 중국과 러시아 등의 반대로 사실상 유야무야하는 분위기다.

안보리의 결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5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이 전원 찬성할 때만 통과할 수 있다.

미얀마는 지난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정부군과 자치를 요구하는 무장 반군 사이에 산발적인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얀마 각지에는 25개가 넘는 소수민족무장단체(EAOs)가 존재하며 이 중 10여개의 단체는 군정을 규탄하고 민주 세력에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전날인 14일 CRPH는 성명을 통해 법에 따라 시민들은 '자기 방어'를 할 권리가 있다고 천명했으며, 로이터는 CRPH가 '연방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미얀마의 여러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소수민족 무장단체 대표들과 접촉 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