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휴업 또는 폐업’...심폐 소생술 필요한 공연예술계
2021-03-02 08:00
공연건수, 전년비 65.0%↓...문체부, ‘재기지원 자금 펀드’ 250억원 조성
“힘들지만 버텨봐야죠.“
공연예술계 관계자들을 만났을 때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어느덧 1년이 지났다. 마스크를 벗을 날만을 기다리며 보릿고개를 버텨온 공연예술계다. 계절은 겨울과 봄 사이에 있지만 마음으로 느껴지는 온도는 여전히 너무도 춥다. 쓰러져가는 공연예술계에 심폐 소생술이 절실하다.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문화체육관광위·여성가족위)이 최근 입수한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코로나에 의한 공연예술분야 피해현황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연시설 및 공연단체 등 공연예술기관 중 휴업을 한 기관은 43.6%, 폐업한 기관은 2.2%로 집계됐다. 공연시설 1028개, 공연단체 3972개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공연장이 문을 닫으면 배우, 창작진 스태프, 제작사 대표 등이 모두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예술경영지원센터 조사에 따르면 매출액 감소는 전년 대비 ‘70~100% 감소’가 38.5%로 가장 높게 났으며, 매출액이 감소한 현황을 금액대별로 살펴보면,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3.4%, ‘1000만원 미만’이 22.5%로 많았으며, ‘5억원 이상’ 매출이 감소한 경우도 4.1%로 조사됐다.
또한 유 의원은 “준비된 공연 또는 행사가 코로나로 취소되거나 연기될 경우 이에 대한 피해보상제도 역시 필요하다”며 “단발성 계약형태로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는 직업적 특성을 지닌 예술인 및 공연계 종사자에 대한 손실 보상 특별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신임 장관은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코로나 극복을 꼽았다.
황희 장관은 “코로나 피해를 입으신 분들과 소통 체계를 갖추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현장에서 어떻게 체감하는지 신속하게 피드백을 해, 정책과 지원을 수정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지난 2월 2일 발표한 ‘2021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예술·콘텐츠 분야 피해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재기지원 자금(펀드)’ 신설(250억원 조성), 공연할인권(139억원·총 174만명), 영화인 직업훈련 및 수당 지원(5억원) 등을 통해 직간접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민간 차원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김성규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지난 2월 22일 2021 세종 시즌 프로그램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시대관 서비스를 실시해 비어있는 공연장을 수시로 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며 “예술가들이 최대한 많은 무대에 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