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 "미세먼지 감축·신규사업 발굴에 더욱 노력할 것"

2021-02-16 15:52
2021년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추진...33개 사업 256억 투입
13개 부서 6개 분야 33개 사업 추진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선제·예방적 저감 조치...시민 안전 중점

박승원 광명시장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광명시 제공]

박승원 경기 광명시장이 16일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효율적 대책 마련과 신규사업 발굴에 더욱 더 노력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날 박 시장은 "오는 2024년까지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16㎍/㎥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2021년 광명시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019년보다 15% 감소한 21.9㎍/㎥로 나타났다.

감소 이유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 저감 정책 도입,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미세먼지 배출량 감소, 유리한 기상여건 등으로 박 시장은 분석하고 있다.

광명시의 미세먼지 주 오염원은 자동차 배출가스와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개발공사로 인한 건설장비 운행·비산먼지가 주다.

이에 박 시장은 이번 2021년 종합대책으로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선제·예방적 저감 조치, 시민건강 보호 등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 13개 부서 6개 분야 33개 사업 추진, 256억 원 예산 투입

시는 환경관리과를 중심으로 13개 관련부서가 협력하여 지난해보다 4.2% 증액된 총 256억 원의 예산을 투입, 6개 분야 33개 사업을 추진한다.

6개 추진분야는 정확한 미세먼지 진단과 알림, 도로 위 미세먼지 집중관리, 사업장‧공사장 등 미세먼지 저감, 생활‧주거 속 미세먼지 저감 등이다.

주요 사업은 대기오염측정소, 전광판 등 운영, 노후경유차 저공해화 사업, 친환경 자동차 보급,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미세먼지 배출 사업·공사장 관리,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 등이 해당된다.
 

[사진=광명시 제공]

◆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 신속한 대기정보 전달

시는 지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에 걸쳐 노후화된 대기오염 측정소 2개소(철산·소하동)의 측정 장비를 교체했고, 시민의 야외활동이 많은 주요 지역에 미세먼지 신호등 9개를 설치·운영중이다.

미세먼지 신호등은 대기오염 전광판 4개소와 버스정보시스템 205개소와 연계 운영하고 있으며, 정확하게 측정된 대기질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미세먼지 경보상황 발령 시 경고문구 등을 표출, 시민건강 피해 최소화에 노력하고 있다.

◆ 도로오염원 차단, 사업장·공사장 등 관리 감독 강화

광명시는 친환경 자동차 총 594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늘어나는 전기자동차 수요를 대비해 평생학습원·연서·하안·소하도서관과 소하제1공영주차장 등 5개소에 전기자동차 충전소도 새로 설치할 계획이다.

시는 영세한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에 오래된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개선·교체 비용 등을 지원하고, 고농도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는 5월까지 공사장과 대기배출시설 등 미세먼지 배출업소 60곳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실시한다.
 

[사진=광명시 제공]

◆ 미세먼지 취약계층 건강 보호···그린공간 조성

시는 2023년까지 관내 곳곳에 150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친환경 녹색도시 광명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안양·목감천 선형공원화 및 권역별 주요 공원 정비 사업을 실시해 시민 휴식공간을 확충한다.

특히, 도덕산 내 훼손된 산지를 복구하고 미세먼지 저감 기능이 뛰어난 수목 약 7200주를 심을 계획이다.

이외에도 미세먼지를 줄이고 난방비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콘덴싱보일러 교체 지원 사업으로 1가구당 일반 20만원, 저소득층은 지난해 보다 10만원 늘어난 6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힌편, 박 시장은 “시민들도 환경정책에 관심을 갖고 함께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