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發 양극화] ② 경제는 어쩌나… WB "경제성장, 예상보다 악화" 우려
2021-02-03 08:00
UBS "2022년 말 돼야 전세계 인구 20% 접종"
국가 내부 정치 분쟁 악용 가능성 제기
국가 내부 정치 분쟁 악용 가능성 제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1년 경제 회복의 향방이 백신에 달렸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백신 접종으로 집단 면역을 달성해야 경제 활동을 정상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얘기하면 백신 접종이 지연되고,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백신 보급 양극화 문제가 지속되면 신흥국 경제를 압박해 글로벌 경제의 회복 시점도 늦출 수 있다.
이미 세계보건기구(WHO)는 작년보다 올해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두고 국제상공회의소(ICC)와 세계은행(WB)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측치를 하회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WB는 백신 접종이 지연되면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에 전망한 4.0%에서 1.6%로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접종 지연 문제는 신흥국만의 이슈가 아니라는 점에서 리스크가 크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백신 물량 부족으로 접종이 지연되고 국가 간 갈등까지 표출되는 사례가 나왔다.
유럽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 생산이 늦어지자 '백신민족주의'까지 등장했다. EU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초기 백신 공급이 예정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밝히자 "용납할 수 없다", "원인을 조사하겠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아스트라제네카가 EU보다 영국을 우선시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러나 백신을 둘러싼 갈등으로 민족주의까지 등장했다는 지적은 피해갈 수 없게 됐다. 미국의 CNN은 "WHO가 우려했던 백신민족주의가 가장 높은 수준의 평등을 자랑으로 여겨온 유럽에서 시작됐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유럽연합(EU)은 올해 여름까지 인구의 70%에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었지만 접종률은 2%에 그친다.
국제적 분쟁 뿐만 아니라 각 국가별로도 백신을 정치적·외교적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등장했다.
유라시아 그룹은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신흥국에서 백신이 정치적·외교적인 수단으로 악용되거나 정부에 대한 시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등 러시아 우방국들은 신뢰성이 부족한 러시아 백신을 도입했는데 이러한 결정 대부분은 이념적인 판단에 근거한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