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선박 나포 문제' 해결 뒷전인 이란..."동결 자산 즉각 조치하라"
2021-01-12 09:45
최종건 외교차관·정부 대표단, 방란 중
이란 외무장관·중앙은행총재 만나 회담
외무장관 "선박 나포, 정부 개입 못 해"
중앙은행총재 "이란 자산동결, 큰 실수"
이란 외무장관·중앙은행총재 만나 회담
외무장관 "선박 나포, 정부 개입 못 해"
중앙은행총재 "이란 자산동결, 큰 실수"
최종건 외교부 1차관(오른쪽 테이블 가운데)과 세예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왼쪽 테이블 가운데)이 10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회담하고 있다. 이날 양국은 이란 혁명 수비대에 억류된 한국 선원과 이란의 한국 내 동결 자금에 관한 교섭을 벌였지만, 입장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사진=연합뉴스]
최종건 외교부 1차관과 정부 대표단이 한국 선박 나포 및 선원 억류의 조속한 해제를 촉구하기 위해 이란을 방문했지만, 이란 정부는 정작 선박 나포 문제에 정부가 직접 개입할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이란 정부는 한국 내 동결된 자국의 원유수출대금 문제를 지적, 한국 정부가 나서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12일 이란 현지언론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한국 내 동결 자산은 양국 관계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한국 정부가 이를 제거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자리프 장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를 고려할 때 양국 관계의 우선순위는 한국 내 동결된 우리 금융 자산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며 "한국 은행의 불법행위가 이란 국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한국의 이미지 훼손이 심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란 의회 의원들은 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법적인 권리를 강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는 지난 4일(현지시간) 걸프 해역에서 해양오염을 사유로 들며 한국케미호를 나포했다.
그러나 선주사 '디엠쉽핑'은 해양오염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현재 억류된 한국인 5명 등 선원 20명은 이란 남부 반다르아바스 항에 정박 중인 한국케미 선내에 체류 중이다.
외교가에서는 이란이 한국케미를 나포한 배경으로 한국 내 동결된 이란의 원유수출대금 70억 달러(약 7조6000억원)를 지목하고 있다.
이란은 지난 2010년 중앙은행 명의로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에 원화 계좌를 개설, 원유수출대금을 받아왔다.
그러나 미국이 2018년 5월 이란과의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탈퇴한 후 대(對)이란 제재를 복원함에 따라 해당 계좌를 통한 한국과 이란 간 거래가 중단됐다. 한국 역시 '세컨더리 보이콧(2차적 제재)' 등을 우려해 제재를 이행하고 있는 까닭이다.
이에 이란 정부는 한국 정부에 계좌 동결 해제를 계속해서 촉구해왔고, 최근에는 이 자금으로 의약품과 의료장비, 코로나19 백신 등을 사게 해달라고 요구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대표단이 자리프 장관과 회담하기에 앞서 만난 압돌나세르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 역시 "(한국이) 이란의 자산을 동결한 것은 큰 실수"라며 "용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