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들 '배당잔치'에 금감원 제동

2020-12-09 19:00
외국인 지분 회수 압박 피하려 고배당
당국 "코로나로 실적 착시"

 
금융당국이 약 250조원의 대출이 시중에 풀린 가운데서도 대규모 '배당 잔치'를 준비하는 금융사에 메스를 든다. 금융사들은 대외적으로는 주주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지만, 배당금 지급이 축소될 경우 외국인 지분이나 재무적투자자(FI)의 비율이 높은 금융사는 자금회수 압박이 불가피하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달까지 각 금융지주별 배당 축소안 논의를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금감원은 금융지주사에게 15~20% 선까지 배당성향 축소를 권고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협의한 금융지주사는 내년 1월 초 배당 축소 방안을 확정지을 계획이다. 금감원은 올해 금융사들이 권고를 지키지 않을 경우 제도적 장치 마련을 고려할 만큼 상황이 급박하다고 봤다. 
◆금융당국 "코로나 착시효과 대비해야"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어서 예년과 같은 고배당은 안 된다는 판단이다. 특히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4월에도 금융지주사에 현금 배당, 자사주 매입, 성과급 지급 등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그럼에도 하나금융은 지난 7월 코로나 위기에도 중간배당을 실시했다. 또한 지난 3분기 사상 첫 분기 순이익 1조원을 달성한 신한금융도 금융사 최초로 분기별 배당안 추진을 준비 중이다.  

그만큼 실적이 좋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코로나 위기로 중간배당을 중단한 상황에서도 금융권만은 예외인 셈이다. 올해 3분기 4대 금융지주의 영업이익은 4조1201억원이다. 지난해 3분기(4조1049억원)를 웃도는 수치다. 금융지주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 평균도 상승했다. 14.72%로 전분기보다 1.02% 포인트 증가했다. 증권업계에선 올해 KB·신한·하나금융의 순이익이 작년보다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시중에 대출로 풀린 돈이 250조원에 육박한다며 '착시 효과'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내년 6월 이후로 대출 원금 및 상환 유예 조치가 실시됐지만, 코로나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종료될 경우 빚 폭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총자본비율 평균율 상승도 바젤III 조기 도입에 따라 위험자산이 5.2% 감소하면서 나타난 착시 효과라고 분석했다. 유럽과 영국, 스웨덴, 호주 금융당국도 이 같은 이유로 금융사의 배당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올해 순이익 2~5% 성장··· 주요주주들 배당 압박 커져
금융사들은 배당을 축소할 경우 외국인 지분이 유출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부실채권 비중도 최저치고, 충당금 비율도 높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이유로 배당을 축소할 경우 주주들을 설득할 만한 유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 비율이 높은 금융사의 경우 타격이 크다.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지주사 중 외국인 투자자 비율 65% 수준으로 가장 높다. 경영환경이 어려운 때에도 배당컷 없이 꾸준히 배당금을 늘려왔다. 하나금융은 올해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1485억원의 중간배당을 지급했다. 하나금융은 배당성향을 3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1주당 2015년 150원, 2016년 250원, 2017년 300원, 2018년 400원, 지난해 500원으로 꾸준히 중간배당 규모를 늘려왔다. 이에 따라 배당성향은 2017년 22.53%, 2018년 25.54%, 2019년 25.78%로 높아졌다. 

신한금융도 올해 최초 순이익 1조원을 달성한 만큼 주주 환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신한은 인수·합병 등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지난 9월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 바 있다. 기존 주주의 주식 가치가 떨어지면서 분기별 배당에 대한 주주들의 요구가 커졌다. 신한금융은 11일 이사회를 열고 배당 등 사업계획을 논의할 계획이다. 

카드사들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금감원이 카드사에도 배당 축소를 권고한 만큼 이번 규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올해 2월 기존 대비 3배인 1006억원을 배당한 현대카드의 경우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예정됐던 상장 계획이 지연된 상황에서, 배당까지 축소할 경우 재무적투자자(FI)들의 자금회수 압박을 받을 수 있다. 2017년 맺은 주주 간 계약 때문이다. 2017년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싱가포르투자청, 알프인베스트파트너스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현대카드 지분 24%가량을 인수했다. 당시 FI들은 올 1월 상장을 통해 자금 회수를 돕겠다는 주주 간 계약을 맺었다. 올해 코로나 확산으로 상장이 지연되면서 FI를 붙잡아 둘 유인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올해 이례적으로 배당을 3배 이상 끌어올린 것도 '주주달래기'로 풀이되는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