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2년 연속 하락…"고용환경도 우려"
2020-08-24 16:52
2016년~지난해 연평균 증가율 역대 최저 수준인 0.7%
"해외 리쇼어링 정책 추진 중…한국도 경영환경 비교우위 확보 필요"
"해외 리쇼어링 정책 추진 중…한국도 경영환경 비교우위 확보 필요"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이 2년 연속 하락하며 고용환경도 악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제조업 생산능력 지수는 조업 환경이 정상적이라고 가정했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실적을 의미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지수는 2017년 103.1로 정점을 기록한 뒤 2018년(103.0)에 이어 지난해(102.9)까지 연속으로 낮아졌다. 연평균 증가율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였다. 직전인 2011~2015년의 연평균 증가율은 2.2%였다.
한경연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높은 고용친화형 업종의 생산능력이 하락함에 따라 고용환경도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중에서 작년 생산능력지수가 2015년에 비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였다. 한경연 분석에 따르면 고용인원 비중이 높은 5개 업종(기타 기계 및 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고무 및 플라스틱) 중 전자부품을 제외한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했다.
이에 고용 기여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지수 증가율이 둔화돼 일자리 해외 유출 등 고용환경 악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글로벌 밸류체인(가치사슬)이 재편되면서 전 세계 각국이 리쇼어링(해외생산기지의 자국 복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기업관련 규제 개선, 각종 투자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경쟁국보다 제조업 경영환경의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제조업 생산능력 지수는 조업 환경이 정상적이라고 가정했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실적을 의미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지수는 2017년 103.1로 정점을 기록한 뒤 2018년(103.0)에 이어 지난해(102.9)까지 연속으로 낮아졌다. 연평균 증가율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였다. 직전인 2011~2015년의 연평균 증가율은 2.2%였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중에서 작년 생산능력지수가 2015년에 비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였다. 한경연 분석에 따르면 고용인원 비중이 높은 5개 업종(기타 기계 및 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고무 및 플라스틱) 중 전자부품을 제외한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했다.
이에 고용 기여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지수 증가율이 둔화돼 일자리 해외 유출 등 고용환경 악화가 우려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