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첫 출근' 최종건 '실용적외교' 강조…"이분법적 세계관, 난제 못 푼다"
2020-08-18 19:00
'실세 차관' 최종건, 18일 외교부 첫 출근
실국장 상견례서 '실용적 외교' 중요 강조
"국민 안전 관련 무한책임 짊어져야 한다"
실국장 상견례서 '실용적 외교' 중요 강조
"국민 안전 관련 무한책임 짊어져야 한다"
최종건 신임 외교부 1차관은 18일 외교부 첫 출근 후 실·국장 40여 명과의 상견례 자리에서 ‘실용적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취임식은 최근 수도권 중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열리지 않았다.
최 차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이분법적 세계관으로는 다양한 외교 과제를 풀어낼 수 없다. 여러 난제를 풀어내는 작업은 실용적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지난 3년간 청와대 비서관으로서 누구보다도 외교부 프로정신의 혜택을 많이 받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한반도평화교섭본부를 비롯한 외교부의 심층 보고서는 중요한 ‘이정표(milestone)’였다”면서 외교부의 활동에 사의를 표했다.
이어 “더 이상 국익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의 희생만을 강요할 수 있는 시대는 끝났다”며 “외교부 역시 국민 안전과 관련해선 무한책임을 짊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차관은 코로나19와 같이 비전통 안보 이슈가 국민의 일상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외교 ‘국민을 위한 외교’가 요구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자존감을 외교의 공간에서도 지켜내는 것 또한 우리 외교의 책임”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섬세하고 고차원적 전략이 필요한 시기에 국제정치 현실은 우리에게 양극단의 선택을 강요하지도 않을뿐더러, 그러한 경직된 방식으로는 국민을 위한 외교를 할 수도 없다”며 일도양단의 이분법적 세계관으로는 다양한 외교 과제를 풀어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 차관은 또 “국익을 제약하는 여러 난제를 풀어내는 작업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일도양단의 프레임에 의해 외교적 상상력과 혁신이 제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실용적 외교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전문가라는 이름 아래 권위를 앞세우거나 벽을 쌓는 것은 외교부의 경쟁력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으며 “전문 분야 간 경계선을 허물고 시대와 국민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깊이 고민하고 경청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 차관은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외부 소통 못지않게 우리 내부의 공감도 대단히 중요하다. 저는 실·국장은 물론 실무과장과도 토론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과장의 업무환경을 점검해 실질적 업무 집중도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심의관의 경험과 전문성 또한 적극 활용돼야 한다”면서 “일선 부서원의 능력이 방치되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입신양명보다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는 직원, 묵묵히 자신의 업무를 챙기고 동료에게 봉사하는 직원이 발굴되고, 보상받고, 대우받는 인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도 전했다.
한편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 출신인 최 차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4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도 ‘실세 차관’으로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외교가에서는 그가 외교부에 산적한 각종 외교 현안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며 존재감을 드러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과 최 차관의 관계가 깊은 만큼 외교부를 향한 청와대의 압박이 확대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 차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이분법적 세계관으로는 다양한 외교 과제를 풀어낼 수 없다. 여러 난제를 풀어내는 작업은 실용적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지난 3년간 청와대 비서관으로서 누구보다도 외교부 프로정신의 혜택을 많이 받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한반도평화교섭본부를 비롯한 외교부의 심층 보고서는 중요한 ‘이정표(milestone)’였다”면서 외교부의 활동에 사의를 표했다.
이어 “더 이상 국익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의 희생만을 강요할 수 있는 시대는 끝났다”며 “외교부 역시 국민 안전과 관련해선 무한책임을 짊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차관은 코로나19와 같이 비전통 안보 이슈가 국민의 일상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외교 ‘국민을 위한 외교’가 요구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자존감을 외교의 공간에서도 지켜내는 것 또한 우리 외교의 책임”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섬세하고 고차원적 전략이 필요한 시기에 국제정치 현실은 우리에게 양극단의 선택을 강요하지도 않을뿐더러, 그러한 경직된 방식으로는 국민을 위한 외교를 할 수도 없다”며 일도양단의 이분법적 세계관으로는 다양한 외교 과제를 풀어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 차관은 또 “국익을 제약하는 여러 난제를 풀어내는 작업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일도양단의 프레임에 의해 외교적 상상력과 혁신이 제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실용적 외교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전문가라는 이름 아래 권위를 앞세우거나 벽을 쌓는 것은 외교부의 경쟁력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으며 “전문 분야 간 경계선을 허물고 시대와 국민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깊이 고민하고 경청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 차관은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외부 소통 못지않게 우리 내부의 공감도 대단히 중요하다. 저는 실·국장은 물론 실무과장과도 토론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과장의 업무환경을 점검해 실질적 업무 집중도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심의관의 경험과 전문성 또한 적극 활용돼야 한다”면서 “일선 부서원의 능력이 방치되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입신양명보다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는 직원, 묵묵히 자신의 업무를 챙기고 동료에게 봉사하는 직원이 발굴되고, 보상받고, 대우받는 인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도 전했다.
한편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 출신인 최 차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4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도 ‘실세 차관’으로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외교가에서는 그가 외교부에 산적한 각종 외교 현안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며 존재감을 드러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과 최 차관의 관계가 깊은 만큼 외교부를 향한 청와대의 압박이 확대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