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업계 새동력 비대면]409조 시장 에듀테크, 이제야 첫발

2020-07-23 08:00

[게티이미지뱅크]


에듀테크가 국내에 빠르게 안착하는 분위기다. 4차 산업혁명이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변화를 줄 것이란 예상은 수년 전부터 나왔으나 그간 확산 속도는 더딘 편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계기로 언택트(비대면) 사회로 진입하면서 막연히 ‘미래 교육’이라고만 여겨졌던 에듀테크 인지도가 높아졌다. 정부와 정치권도 새로운 산업의 등장에 관련법을 손질하고 지원책 마련에 나설 태세다.

미국 데이터연구기업 홀론아이큐는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규모가 2018년 1530억 달러(183조원)에서 2025년 3420억 달러(409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츠’는 올해 세계시장 규모가 4300억 달러(513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에듀테크 시장은 2017년 4조원에서 올해 10조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이 접목된 에듀테크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이다. 자녀가 학습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를 찾아내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학습 완성도를 높여준다. 예를 들어 수학 문제를 풀면, 맞다 틀리다만 알려주는 게 아니라 ‘왜, 어디서 틀렸는지’를 짚어주는 식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초반 인터넷과 동영상기술로 인터넷 강의가 활성화되면서 ‘이러닝(전자학습)’이 등장했고, 2004년 관련 법률(이러닝산업 발전 및 이러닝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이후 AI 등의 기술이 점차 발전해 교육 분야에 접목돼 탄생한 게 에듀테크다. 해외에선 2010년대부터 관련 기술개발이 시작됐다. 국내에선 일부 교육업체가 선제적으로 제품을 출시했으나, 2015년 이후에야 조금씩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렇다 보니 에듀테크는 이러닝의 한 줄기로 인식됐고, 법적 근거를 갖추지 못해 정부로부터 정책적 지원을 받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 에듀테크를 통한 학습의 긍정적인 요소들이 부각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테블릿PC 등 학습기기가 필요해서 ‘사교육 비용 상승’이라는 예민한 사안도 한몫했다.

전환점은 코로나19였다. 비대면이 강제되면서 집에서 학습이 필요한 자녀들과 부모들에게 에듀테크가 강하게 각인됐다. 20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 등을 중심으로 이러닝산업발전법 개정 논의가 있었다. 김 의원은 21대 국회에서도 이러닝 개념만으로는 에듀테크를 포괄하기엔 부족하다며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에는 에듀테크 기술 인증 지원과 함께 해외진출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도 담았다. 정부도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수업 역량을 강화하는 대책을 마련 중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 4월 에듀테크 기업과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